조선업·반도체 앞세워 '경제동맹 2.0' 비전 제시

25일(현지시간) 이재명 대통령이 미국 워싱턴DC 윌라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 대통령,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장, 김정관 산자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25일(현지시간) 이재명 대통령이 미국 워싱턴DC 윌라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 대통령,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장, 김정관 산자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박동인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 “조선, 반도체, 자동차, 배터리, 바이오·의약품, 원전 등 제조업 전반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지닌 한국이야말로 미국 제조업 르네상스의 최적의 파트너”라고 밝혔다.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을 주제로 기조연설에 나선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말한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라는 비전의 핵심은 곧 ‘제조업을 다시 위대하게’라는 뜻”이라며 양국 간 협력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동맹의 근간은 신뢰이며, 신뢰를 가장 확실하게 쌓는 방법은 경제적 교류”라면서 “기업인 여러분이 바로 72년 한미동맹의 역사를 이끌어온 주체”라고 치켜세웠다.

이어 “전쟁으로 산업 기반이 무너졌던 시절, 미국의 지원 덕분에 한국은 제조업 강국으로 재도약할 수 있었다”며 “이제 한국이 미국의 산업 재건에 기여할 차례”라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원자력 기술을 포함해 한국의 산업화 과정에서 미국의 역할을 언급하며 “세계적 전력 인프라의 기반이 된 원전 기술 또한 미국에서 배워온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제조업 르네상스 비전으로 ▲전략산업 분야 협력 강화 ▲첨단산업 협력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 ▲공급망 안정화와 지속가능한 무역 관계 구축을 제시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조선업을 거론하며 “한국은 미국 조선업 부활의 최적이자 유일한 파트너”라며 “미국의 영광을 회복해 군사력 강화까지 이어지도록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세계 1~3위 조선소를 보유한 한국 기업들은 LNG운반선, 쇄빙선, 첨단 상선 등 폭넓은 기술 포트폴리오로 미국 조선업 재건에 결정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또한 반도체 분야와 관련해 “고대역폭메모리(HBM)는 미국의 AI 경쟁력 확보에 필수”라며 “앞으로 삼성, SK 등 한국 기업이 미국 현지에 패키징·파운드리 생산시설을 건설해 미국이 반도체 공급망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 시대에도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와 미국산 제품 구매는 계속될 것”이라며 “동시에 미국 기업들의 대한국 투자가 늘어난다면 한미 협력의 시너지와 공급망 안정성은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