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은 '자동차 산업 수출 공급망 강화를 위한 금융지원' 1호 지원 기업인(주)서진산업 시흥 본사를 방문하여 상생 협력을 모색했다.(주)서진산업을 찾은 이호성 하나은행장(사진 왼쪽에서 세번째)이 최재홍 서진산업 대표이사(사진 왼쪽에서 네번째)로 부터 생산시설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하나은행 제공
하나은행은 '자동차 산업 수출 공급망 강화를 위한 금융지원' 1호 지원 기업인(주)서진산업 시흥 본사를 방문하여 상생 협력을 모색했다.(주)서진산업을 찾은 이호성 하나은행장(사진 왼쪽에서 세번째)이 최재홍 서진산업 대표이사(사진 왼쪽에서 네번째)로 부터 생산시설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하나은행 제공

[서울와이어=김민수 기자] 하나은행이 미국 상호관세 시행으로 어려움이 예상되는 중소·중견 수출기업들을 직접 찾아 금융지원을 강화하고 나섰다.

16일 하나은행에 따르면 전날 열린 ‘수출기업 금융지원 간담회’에 참석한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시흥시 소재 10개 기업은 관세정책 여파로 인한 수출 실적 감소, 신용등급 하락, 대출 한도 축소, 금리 상승 우려를 토로했다. 

이에 대해 이호성 하나은행장은 신용평가 심사기준 완화 검토, 유동성 신속 지원, 대출금리 감면, 글로벌 현지 금융 강화 등 다각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하나은행은 전국 영업점에 ‘관세 대응 및 금융지원 상담창구’를 설치해 수출금융, 기업여신, 외환수수료, 경영컨설팅을 포함한 전방위적 상담을 제공한다. 또한 본부부서 전문가가 직접 기업을 찾아가는 ‘현장 컨설팅’ 제도도 도입해 피해기업 지원에 나선다.

이번 간담회에 앞서 이 행장은 ‘자동차 산업 수출 공급망 강화를 위한 금융지원’ 1호 지원 기업인 서진산업을 방문해 생산시설을 둘러보고 상생 협력을 모색했다. 해당 프로그램은 지난 8월 현대차·기아, 한국무역보험공사와 체결한 협약의 일환으로, 하나은행 300억원, 현대차·기아 100억원 등 총 400억원을 출연해 6300억원 규모 유동성을 공급하는 금융지원책이다.

이 행장은 “미국 관세정책으로 인한 위기 극복을 위해 선제적 금융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적시성 있는 유동성 공급으로 수출기업들의 투자와 수출에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하나금융그룹은 하나은행을 통해 중소·중견기업 및 소상공인 대상 긴급 유동성 23조원을 포함한 총 30조원 규모 금융지원을 시행하며, 미국 관세 피해기업의 경영 안정화를 뒷받침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