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대통령 전작권 '환수' 대신 '회복' 표현엔 "직접 수정"

[서울와이어=정현호 기자] 대통령실이 김현지 부속실장의 국정감사 출석 여부를 둘러싼 논란 관련 재정리한 입장을 내놨다.
김남준 대통령실 대변인은 1일 브리핑에서 “김 부속실장은 국회가 요구하는 바를 따르겠다는 뜻을 이미 밝힌 바 있으며, 그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전했다.
앞서 김 부속실장은 지난달 29일 대통령실 내부 인사 이동으로 총무비서관에서 부속실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야권은 이를 두고 “국감 증인 출석을 회피하려는 인사”라고 비판했지만, 대통령실은 이번 인사가 국정감사와 무관하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김 부속실장이 국군의 날 행사에 동행하지 않은 이유도 단순히 인수인계 업무가 몰려 있었기 때문”이라며 “부속실장이 모든 일정에 반드시 참석할 필요는 없다”고 밝했다.
또 그는 자신이 직전 부속실장을 지냈던 경험을 언급하면서 “실제 현장 배치는 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게 조정해 왔다”고 덧붙했다.
대통령실은 야권의 정치적 공세와 별개로 최근 법조계와 공직사회에서 불거진 기강 해이 논란에도 신경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김 대변인은 윤석열 전 대통령 재판을 맡은 지귀연 부장판사에 대한 접대 의혹, 제주지법 부장판사들의 근무시간 음주 논란, 서울구치소의 윤 전 대통령 수감 특혜 의혹 등 현안에 대한 질문에 대해 “사안별 언급은 적절치 않지만 모두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도 “대부분의 공무원은 성실하게 일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합당한 보상도 필요하다는 점을 대통령실은 인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전날 국군의 날 기념사에서 사용한 ‘회복’이라는 표현을 언급했다. 통상 ‘전시작전권 환수’라는 용어를 써온 대통령이 이번에는 ‘회복’으로 직접 수정한 데 따른 것이다.
김 대변인은 이와 관련 “환수는 단순히 위치 이동의 의미라면, 회복은 본래 자리로 되돌아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며 “대통령이 자주국방의 맥락을 고려해 표현을 바꾼 것”이라고 설명했다.
- 李대통령 "'스마트 강군',강력한 자주국방으로 미래 안보 주도"
- 김현지가 누구길래?... 與 "업무 효율" vs 野 "방탄 카드"
- 이재명 대통령 "불법 계엄 잔재 청산… 헌법 수호하는 군대로"
- "사법 불신 단초는 李대통령 상고심 속전속결"… 이석연, 조희대 판결 비판
- 김건희급 예우(?)받나... 김현지 실장, 국감 증인 채택 여권 내부도 '각각'
- 송언석 "정무수석이 약속한 김현지 출석, 국민 앞에서 지켜야"
- 이태원 막말 후 또다시… 김미나 창원시의원, 부적절 발언 파문
- 野 박정훈 "김현지, 경기동부연합 연결고리"… 민주당 "저질 공세" 반박
- 김현지 국감 증인채택 공방… 또 다른 화약고되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