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노성인 기자] 증권업계가 혁신기업 및 모험자본을 지원하는 ‘생산적 금융’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를 위해 발행어음·IMA(종합투자계좌) 인가 및 지정 확대 등 당국의 뒷받침이 필수적이라는 분석이다.
금융투자협회와 자본시장연구원은 15일 서울 여의도 금투센터 불스홀에서 ‘생산적 금융 확대를 위한 증권업계 역할 및 성장전략’을 주제로 세미나를 공동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생산적 금융의 역할이 중요해지는 가운데 증권업계의 비전을 공유하고 구체적인 실천 전략과 개선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했다.
박용린 자본시장연구원 부원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증권업이 혁신기업의 성장 단계별 자금조달을 지원하고 모험자본을 중개하는 핵심 플랫폼으로 기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생산적 금융 확대를 위한 정책과제로는 발행어음·IMA 인가 및 지정 확대,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BDC) 참여 기반 마련 등을 제안했다.
증권업 현장에서도 생산적 금융의 중요성에 대해 한목소리를 냈다. 윤병운 NH투자증권 사장은 이날 세미나에서 ‘진정한 기업금융의 시대: 첨단산업 성장·재편을 뒷받침하는 생산적 금융’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윤 사장은 “생산적 금융 지원을 위해 증권업계는 성장단계 혁신기업에 주식과 채권의 장점을 결합한 메자닌·성장형 사모펀드 등 새로운 투자방식을 확대해야 한다”며 “철강·석유화학 등 전통산업에는 M&A와 구조조정 금융을 통한 사업재편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정학 IBK투자증권 사장은 ‘중기특화 증권사 운영 현황 및 개선과제’를 주제로 중소·벤처기업의 자본시장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의 성과와 향후 보완 방향을 제시했다. 그는 모험자본 투자 순자본비율(NCR) 적용기준 완화, 전용펀드 참여기회 확대 등 실효적 인센티브 강화를 위한 제도개선 과제를 제안했다.
서 사장은 “약 800만개의 중소기업과 4만개의 벤처기업에 대한 모험자본 공급은 종투사만으로 한계가 있다”며 “중소형 증권사가 함께해야만 세밀한 지원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