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앞으로 2년간 수도권 신축임대주택의 90%를 아파트와 오피스텔 등 선호도 높은 주택 유형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사진=서울와이어DB
 정부는 앞으로 2년간 수도권 신축임대주택의 90%를 아파트와 오피스텔 등 선호도 높은 주택 유형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사진=서울와이어DB

[서울와이어=안채영 기자] 정부가 앞으로 2년간 수도권에서 건설되는 신축매입임대주택의 대부분을 선호도가 높은 아파트·오피스텔 등으로 집중 공급한다. 

국토교통부는 16일 지난 9월 발표한 9·7 부동산 공급대책의 일환으로 수도권 신축매입임대 14만가구 공급 계획을 신속히 추진해 단기간 내 가시적인 주택 공급 실적을 달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축매입임대사업은 민간 건설사가 새로 짓는 주택에 대해 사전에 매입 계약을 체결하고, 준공 후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주택기관이 이를 매입해 임대주택으로 제공한다. 대상 주택 유형은 오피스텔, 아파트, 다세대·연립주택, 다가구·단독주택 등 다양하다.

국토부는 이 사업으로 도심 주요 입지의 주택을 사전에 확보하고, 계약 이후 신속하게 임대 공급할 수 있어 빠른 성과를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총 14만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이 가운데 절반인 7만가구를 2026~2027년 2년간 착공해 역세권 등 입지 우수 지역에 집중 배치한다. 그중 90% 이상은 시민 선호도가 높은 아파트, 오피스텔, 도시형 생활주택 등으로 공급될 예정이다.

올해부터는 매입 대금의 최대 10%를 착공 단계에서 선지급하는 인센티브를 도입하한다. 또 LH 내부에 조기착공 지원팀을 설치해 사업 관리와 진행 속도를 강화할 계획이다. 올해 8월 말 기준으로 신축매입임대 약정 체결 건수는 24000가구다.

이와 관련해 이상경 국토교통부 1차관은 “신축매입임대사업은 신혼부부와 청년층 등 수요가 많은 도심 지역 주택을 신속하게 확보할 방법”이라며 “앞으로 수도권 신축매입임대 14만가구를 우수 입지·고품질 주택 위주로 공급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주거 안정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