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 1도 상승시 방문객 9.6% 감소
휴양 관광지 10월 13.5% 증가 양상

사진=한국관광공사 제공
사진=한국관광공사 제공

[서울와이어=현지용 기자] 한국관광공사가 29일 기후·통신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관광수요 영향 분석 자료를 발표했다.

최근 7년간을 대상으로 이뤄진 이번 분석은 기후변화가 관광산업에 끼치는 영향을 확인해 이를 관광정책 설계 시 반영하고 지속가능한 관광콘텐츠를 발굴하고자 기획했다.

공사는 기후 데이터와 이동통신 기반 관광데이터를 결합해 관광지 유형별 방문객 수 변화를 2018~2021년과 2022~2024년으로 나눠 분석했다.

이를 위해 자연, 휴양, 역사, 문화, 레포츠 등 관광지 유형을 구분하고, 기온이 1도 상승할 때 나타나는 방문객 수 변화추이를 살펴봤다.

자연 관광지의 경우 2022~2024년 6월 기준, 기온 1도 상승을 가정할 때 방문객 9.6%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동일한 조건으로 휴양 관광지는 10월 기준 13.5%가 증가하는 양상을 띄었다.

반면, 문화 또는 기타 관광지는 기온 변화에 상대적으로 둔감한 것으로 확인했다.

5월은 대표적 봄성수기로 인식되었으나, 최근에는 3~4월이 새로운 성수기로 부상했다.

지역별 편차가 존재하지만, 전국 벚꽃 개화 시기는 2018년 대비 2024년에 평균 3일가량 앞당겨진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은 자연, 휴양 관광지 수요 증가의 중심이 8월로 이동했으며, 가을은 유일하게 기온 상승의 긍정적 효과가 지속되는 계절로 확인됐다.

겨울은 기온 상승 시 대부분의 관광지에서 방문객이 감소하면서 겨울 성수기가 사라지는 것으로 풀이됐다.

이지은 한국관광공사 관광컨설팅팀장은 “2018년 이후 국내 평균기온이 1.7도 상승하면서 관광 성수기의 계절 지도가 변화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후변화는 단순한 환경 문제가 아니라 관광산업의 구조와 전략을 바꾸는 핵심 변수인만큼 이번 분석이 관광정책 수립과 관광상품 기획 등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