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서동민 기자] 이동통신 3사(SKT·KT·LG유플러스)는 모바일 인증 플랫폼 PASS 앱을 기반으로 한 ‘PASS 전자고지’ 서비스를 공식 출시했다고 18일 밝혔다. 공공·금융기관 고지 문서를 PASS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하며, 이통 3사의 디지털 공공서비스 인프라가 한층 강화됐다는 평가다.
PASS 전자고지는 건강검진표, 자격 변동 안내, 환급금 안내 등 각종 행정·금융 고지 문서를 PASS앱에서 안전하게 열람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향후 수백 종 이상의 종이 문서를 전자 형태로 발송할 수 있도록 고지 종류를 지속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대표 인증·본인확인 앱인 PASS는 가입자 3,800만 명을 보유하고 있으며, 본인 명의 스마트폰 기반 인증을 활용해 고지 문서를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는 점이 강점이다. 또한 PASS 전자고지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공인받은 PASS 인증서를 활용해 전자서명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PASS를 ‘국민 일상 속 필수 플랫폼’으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사용자 편의성도 대폭 개선했다. PASS 메인 화면에서 전자고지 메뉴를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UI/UX를 개편했으며, 고지 목록 화면에서는 각 문서의 열람 기한을 명확하게 안내한다. 미열람 문서가 있을 경우 추가 알림을 보내 주요 안내가 누락되는 일을 방지한다.
PASS 이용자의 특성상 정보성 알림을 대부분 활성화해 두고 있어 높은 열람률도 기대된다. 실제 PASS 기반 ‘국민비서’ 서비스에서 필수 고지 문서 열람률은 약 55%로 업계 평균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이는 이번 PASS 전자고지 서비스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동안 이통 3사는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공인알림문자’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이번 PASS 전자고지 도입으로 문자·앱 병행 발송이 가능한 투 트랙 고지 체계가 완성됐다. 이용기관은 상황에 따라 효율적인 발송 채널을 선택하거나 병행 발송으로 도달률을 높일 수 있게 됐다.
- 이통3사 3분기 영업이익 40% 줄어… 4년 만에 '1조클럽' 탈락
- 카카오페이손보 "아이폰 보상한도 150만원으로 개정…사용자 중심 보장"
- LIG넥스원, 신속시범사업 '후방지역 사단급이하 전술통신체계' 계약 체결
- [대한민국 AI 대전환] 통신 3사, 'AI 인프라 기업'으로 전환 가속
- 한국관광공사, '기후·통신데이터 기반 관광수요 영향 분석' 공개
- KT, 차기 CEO 후보군 33명 압축…연내 최종 1인 선정
- LG유플러스, ESG 평가 5년 연속 종합 A 등급 획득
- LG유플러스, AI로 상담 품질 관리…전체 콜 실시간 모니터링
- [CEO투데이] 정재헌 CEO의 SKT '재부팅'…통신에서 AI 인프라로
- LG유플러스, '알파키'에 워크플로우 자동화·MDM 연동 추가
- LG유플러스, 'AI고객언어변환기 고도화…모든 안내를 '진심체'로 통일
- LG유플러스, 국내 AI 스타트업 11곳 발굴…글로벌 진출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