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9일 경북 경주박물관에서 정상회담장으로 이동하며 대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9일 경북 경주박물관에서 정상회담장으로 이동하며 대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안채영 기자] 한미 무역 협상이 타결된 가운데 백악관이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성과를 지난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이번 발표는 지난 8월 1차 한미정상회담 당시 한국 산업계가 밝힌 투자 계획과 상당 부분 겹친다.

백악관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 한국 국빈 방문 통해 수십억 달러 규모의 신규 거래 확보’라는 제목의 팩트시트를 배포했다.

백악관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362억달러(약 51조원) 규모로 보잉 항공기 103대를 새로 구입하며, 이를 통해 미국 내 약 13만50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내다봤다.

포스코인터내셔널과 미국 리엘레멘트 테크놀로지스가 희토류 분리·정제·자석 생산을 아우르는 통합형 복합단지를 미국 내 공동 설립할 예정이다.

LS그룹도 2031년까지 30억달러(약 4조2000억원)를 투자해 미국 전력망 인프라 확충에 나선다.

계열사인 LS전선의 미국 자회사 ‘LS그린링크’는 버지니아주에 6억8100만달러 규모의 전선 제조시설을 건설하고 있다.

HD현대와 서버러스 캐피털은 미국 조선소 현대화와 자율운항 기술 개발을 위해 50억달러(약 7조1000억원) 규모의 공동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비거 마린그룹과 함께 미 해군 함정 정비·개조, 조선소 자동화, 미국 국적 선박 신규 건조 분야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한화오션은 필라델피아 조선소 인력을 확충하고 생산 능력을 10배 확대하기 위해 인프라 투자에 50억달러를 투입할 계획이다. 한국가스공사는 앞으로 10년간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를 연 330만t씩 추가로 도입한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