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와이어=서동민 기자] 네이버가 엔비디아와 함께 제조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버티컬 AI(산업 특화 AI)’ 적용 확대에 나선다. 산업 현장에서 AI가 실제 설비와 시스템을 제어하는 ‘피지컬 AI’ 시대를 본격적으로 열겠다는 전략이다.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은 31일 경북 경주 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 젠슨 황 엔비디아 CEO 간의 접견에 참석했다. 이해진 의장은 “AI가 산업 현장 깊숙이 작동하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며 “네이버는 AI·클라우드 역량으로 기업의 데이터 활용과 산업 고도화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날 엔비디아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조선·반도체·에너지 등 주력 산업을 대상으로 산업용 AI 인프라 구축과 ‘피지컬 AI 플랫폼’ 공동 개발을 추진한다. 네이버클라우드가 보유한 디지털 트윈·로보틱스 기술과 엔비디아의 3D 시뮬레이션·로보틱스 플랫폼 ‘옴니버스(Omniverse)’ ‘아이작 심(Isaac Sim)’을 결합해 실제 공정 환경을 가상 공간에서 정밀하게 구현하고, AI가 분석·판단·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협력은 네이버클라우드가 제시한 ‘소버린 AI 2.0’ 비전을 구체화하는 첫 단계로 평가된다. 국가 언어·데이터 기반 AI 생태계를 넘어, 산업 현장으로 AI 적용 범위를 확장하는 전략이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이번 협력은 ‘피지컬 AI’ 시대의 출발점”이라며 “하이퍼스케일 AI와 디지털 트윈 기술을 결합해 국내 제조업의 생산성과 안전, 효율을 실질적으로 높이는 기술 파트너가 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