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만나 GPU 26만장 공급 계획
이 대통령 추진하는 '소버린 AI' 탄력 받을 듯
삼성·SK·현대차·네이버, 엔비디아와 협업 발표

[서울와이어=천성윤 기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행사를 위해 방한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한국에 선물 보따리를 풀었다. 그는 한국 정부와 기업에 26만개에 달하는 최첨단 인공지능(AI) 칩을 공급하기로 했고, 기업과의 긴밀한 투자·협력 계획도 밝혔다. 그가 전날 예고했던 “한국 국민을 기쁘게 할 발표”가 바로 이것이었다.
31일 엔비디아는 한국 정부와 기업에 최신 AI 그래픽처리장치(GPU)인 ‘블랙웰(B200)’ 26만개를 공급하기로 했다. 기업별로는 삼성전자, SK그룹, 현대차에 각각 5만개, 네이버에 6만개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한국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5만개의 블랙웰을 공급받는다.
블랙웰은 장당 3만~4만달러를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총 78억~104억달러(약 14조8000억~19조8000억원)에 달하는 구매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며, 무엇보다 전 세계적으로 GPU 품귀 현상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에 한국이 우선 공급을 받는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특히 이재명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하는 ‘소버린 AI’ 구축에도 힘을 싣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대량의 GPU가 도입되면 국내 AI 인프라 전환 속도는 물론, 반도체·모빌리티·로보틱스 등 핵심 산업의 경쟁력 제고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엔비디아 GPU의 성능을 좌우하는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주력 공급해온 만큼, 한국 메모리 업계도 함께 수혜를 보게 된다.
먼저 정부는 5만장 물량을 국가 AI 컴퓨팅 센터와 파운데이션 모델 연구에 투입한다. 그간 GPU 부족으로 연구·개발이 막혔던 대학·연구기관·스타트업에 ‘공공형 AI 인프라’를 제공, 민간의 혁신을 견인하겠다는 취지다.
이를 통해 산업별 AI 데이터·표준을 정비하고 반도체 장비·소재·전자설계자동화(EDA)까지 이어지는 AI 생태계 전반의 수준을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황 CEO는 국내 기업들과의 신규 협업 프로젝트도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물량을 기반으로 업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AI 팩토리’ 구축에 나선다. 설계-공정-운영-품질 전 과정을 서로 연결한 지능형 제조 플랫폼을 꾸리고, 엔비디아 ‘옴니버스’ 기반 디지털 트윈으로 개발·양산 주기를 단축하겠다는 구상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엔비디아 그래픽카드에 D램을 공급한 것으로 시작으로 파운드리 분야까지 양사 파트너십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왔다”며 “이번 프로젝트는 25년 넘게 이어진 양사의 기술 협력이 맺은 결실로, 업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AI 팩토리 구현이라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SK그룹은 엔비디아와 ‘제조 AI 클라우드’를 함께 조성한다. 엔비디아 옴니버스를 토대로 제조공정 디지털 트윈과 생산 시뮬레이션을 고도화하고, 울산 100MW(메가와트)급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와 연동해 그룹·산학연·스타트업에 개방형 인프라를 제공한다.
SK텔레콤은 엔비디아·국내 통신사·삼성전자·연세대·ETRI와 ‘AI-RAN(지능형 기지국)’ MOU를 맺고, 6G 시대의 초저지연·고신뢰 AI 네트워크를 겨냥한다. 데이터가 네트워크에서 곧바로 학습·추론되는 ‘엣지 AI’의 시험대가 한국에서 먼저 깔린다.
현대차그룹은 엔비디아와 ‘피지컬 AI’에 약 30억달러(약 4조2800억원)를 공동 투자한다. 블랙웰 5만장으로 차량 내 AI, 자율주행, 생산·로봇을 하나의 지능형 생태계로 묶는 AI 팩토리를 도입하고, 엔비디아 AI 기술센터·현대차 피지컬 AI 애플리케이션 센터·데이터센터 설립까지 패키지로 협업을 추진한다.
황 CEO는 이같은 내용을 발표하며 “한국 대표 산업의 중심 기업이자 세계 최고 모빌리티 설루션 기업 중 하나인 현대차그룹과 지능형 자동차와 공장을 구현, 향후 수조달러 규모로 성장할 모빌리티 산업을 함께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 CEO와 면담한 네이버는 ‘소버린 AI 2.0’ 비전을 산업 현장으로 확장한다는 비전을 발표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엔비디아와 피지컬 AI 플랫폼을 공동 개발하고 한국어 특화 거대언어모델(LLM) 기술을 고도화하는 데 기술을 교류할 예정이다.
이날 LG전자도 엔비디아 ‘아이작 GR00T’ 위에 자체 피지컬 AI 모델을 개발하며 로보틱스 역량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제조·가전·전장 등에서 축적한 양질의 데이터를 AI로 전환하고, 글로벌 생산거점에 확대 적용한다. 동시에 AI 데이터센터 액체냉각(CDU)·열회수·고효율 DC 전력 등 AI 인프라 운영 핵심 솔루션을 발전시켜 AI 열·전력 문제의 상업적 해법을 함께 모색하기로 했다.
엔비디아 측은 “새로운 블랙웰 인프라로 한국의 전체 AI GPU 수량은 6만5000개에서 30만개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며 “이로써 한국은 세계적 수준의 AI 리더가 될 토대를 마련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 코스피, 사상 첫 종가 4100 돌파…‘젠슨 황 효과’에 현대차 9% 급등
- [APEC 경주] 李대통령, 젠슨 황 접견…"대한민국, '아·태 AI 수도' 목표"
- 네이버 이해진, 엔비디아 젠슨 황과 회동… 한국 제조업 AI 전환
- 삼성, "HBM 내년 증산 계획까지 검토"…SK와 진검승부 예고
- '증시 희색', 젠슨 황 서프라이즈 발표 무엇?…‘AI 동맹’ 향한 글로벌 빅픽처 가동
- [특징주] 시지트로닉스 등 반도체株 강세…젠슨 황 방한에 AI 기대감 확산
- 코스피, ‘슈퍼위크’ 소화하며 4100대에서 재돌파 시도…현대차 6%↑
- APEC 정상들 1일 대부분 귀국…시진핑, 한중 정상회담·국빈만찬 뒤 출국
- [대한민국 AI 대전환] 땅끝 솔라시도에서 태동하는 AI 이니셔티브
- 엔비디아, 한국 극찬 '헌정 영상' 공개…담긴 메시지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