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리전트 피그 설비 적용해 '안전·정확·효율' 높여

SK에너지 울산CLX가 No.2 부이 해저배관에 '인텔리전트 피그'를 하역(왼쪽) 및 투입(오른쪽)하고 있다. 사진=SK이노베이션 제공
SK에너지 울산CLX가 No.2 부이 해저배관에 '인텔리전트 피그'를 하역(왼쪽) 및 투입(오른쪽)하고 있다. 사진=SK이노베이션 제공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SK이노베이션 석유사업 자회사 SK에너지는 울산컴플렉스(울산CLX)의 부이(Buoy) 해저배관 초음파센서 검사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18일 밝혔다.

부이는 부두에 접안할 수 없는 총 17만톤급 이상인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이 주로 정박하는 해상 하역시설이다. 부이에 연결된 해저배관을 통해 원유를 저장지역 탱크로 이송한다.

울산CLX는 현재 No.2와 No.3 총 두 기의 부이를 운영한다. 이번 검사는 원유 하역 안전성 확보를 위해 2008년 신설된 No.2 부이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전에는 부이 해저배관 내부에 검사원이 들어가 육안으로 부식 상태를 점검했다. 4㎞가 넘는 배관 육안 검사는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외부 부식 확인도 한계가 있다.

울산CLX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배관 내·외부의 건전성(배관의 찌그러짐, 두께 감소, 부식 상태 확인)을 확보하기 위해 초음파를 활용한 ‘인텔리전트 피그(Intelligent Pig)’ 설비를 적용했다.

인텔리전트 피그는 일반적인 비파괴검사가 어려운 장거리 배관, 원유(Crude) 이송을 위한 지하 배관 등의 검사에 사용하는 설비다. 검사원이 진행한 검사보다 신뢰도가 높고 비용도 저렴하다. SK에너지는 이 설비를 No.3 부이 해저배관 검사에도 적용할 계획이다.

박성길 SK에너지 원유·제품운영실장은 “사람이 수행하기 어렵고 위험한 장거리 해저배관 검사를 인텔리전트 피그를 활용해 성공적으로 마쳤다”며 “해양설비 안전관리를 위한 SK에너지의 성과이자 현장에서 실천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을 위한 노력의 결실”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