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익 15조8200…전년비 28% 증가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삼성전자가 폴더블 스마트폰 판매 호조와 메모리와 OLED 판매 증가 등 주력사업이 강세를 보이면서 사상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삼성전자는 올 3분기 연결기준 매출은 73조9800억원, 영업익 15조820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8일 공시했다. 매출은 올해 3분기 연속 최대 매출을 경신했다. 분기 최대 매출실적을 달성했던 전년 대비로도 10.5% 올랐다.
매출 실적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공급망 이슈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 기술·제품 경쟁력과 차별화된 공급망 관리 역량을 적극 활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영업익도 메모리 시황 호조세가 지속됐고 파운드리·디스플레이 확대 등 부품사업이 큰 폭으로 개선돼 전년 대비 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분기 대비 3조2500억원 올라 역대 두 번째 높은 영업익을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연간 기준으로도 최대 매출을 달성했던 지난 2018년 매출을 상회하는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영업이익률도 21.4%로 전분기 대비 1.6%포인트 상승했다. 전년 대비 부품사업을 중심으로 영업익과 영업이익률 모두 증가했다.
사업별로 반도체에서 3분기 매출은 26조4100억원, 영업이익 10조600억원을 기록했다. 메모리는 서버용 중심으로 수요에 적극 대응한 결과 D램은 분기 최대 출하량과 역대 두 번째 매출 기록을 달성했다.
또한 15나노 D램·128단 V낸드 판매가 확대돼 원가절감으로 실적이 대폭 개선됐다. 파운드리도 글로벌 고객사 대상 제품 공급을 확대한 점이 실적 개선에 영향을 미쳤다.
디스플레이의 경우 3분기 매출과 영업익은 각각 8조8600억원, 1조4900억원으로 집계됐다. 다만 중소형과 대형 실적은 희비가 엇갈렸다. 중소형은 스마트폰 고객사의 신제품 출시로 호조를 보인 반면, 대형은 LCD 판가 떨어져 적자가 지속됐다.
IT·모바일(IM) 부문은 폴더블폰 신제품과 중저가 스마트폰 판매 확대로 매출 28조4200억원, 영업익 3조3600억원을 기록했다.
소비자가전(CE)부문도 매출 14조100억원, 영업익 7600억원을 기록했다. 영상디스플레이와 생활가전 분야에서 프리미엄 TV와 비스포크 라인업을 늘려가는데 비해 원자재·물류 가격 상승으로 수익성이 하락했다.
4분기 전망은 모바일 시장 부품 수급 불안이 지속될 전망이지만, 연말 성수기를 앞둬 전 분기 대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비스포크 에디션 판매 확대와 갤럭시 시리즈의 모멘텀을 유지해 프리미엄 제품 판매를 지속 확대할 방침이다. 아울러 경쟁력을 갖춘 중저가 5G 라인업을 적극 활용해 교체 수요와 5G 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
- 대기업 총수 자녀세대 주식자산 2019년 대비 9.7%↑
- 삼성·LG '신가전 향연'… 일상 속 혁신기술 '눈길'
- 재계 총수들 빨라진 시계… 해외경영 본격화
- 삼성전자, 4거래일 연속 상승… 7만원대 유지
- D램 가격 최대 20% 떨어진다… 과잉공급이 원인
- 대우건설, 올 3분기 영업이익 5340억원…전년比 75.1%↑
- [코로나19 통합뉴스룸] 신규 확진자 2111명… 누적 35만8416명·사망 2808명
- 삼성엔지니어링, 3분기 영업이익 1390억원… 전년比 24.1%↑
- GM 부사장 다음달 초 한국GM 방문… "전기차 생산 논의할까?"
- 현대중공업, 3분기 영업익 747억원… 전년비 1394% 증가↑
- HDC현산, 올 3분기 매출액 9234억원… 전년比 13.9%↑
- 현대중공업지주, 3Q 영업익 3018억원… 전년비 198.5% 증가
- 삼성전자, 내년 첫폰은 '갤럭시S21 FE' 될까… 1월4일 공개 예측
- 삼성폰 겨냥 '주름 없고 가격 싸다'...베끼기 의혹 중국 폴더블폰의 도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