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10조98억원, KT 4조6395억원,, LG유플러스 3조9529억원 초과이익
"마케팅비 줄이고 가격거품·가장할인 판매 등 엄격히 규제해야"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관계자가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관계자가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가 4세대 이동통신서비스(LTE)를 활용해 지난 10년 동안 18조6000억원의 초과수익을 챙겼다는 주장이 나왔다.

28일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는 기자회견을 열고 “기지국 투자비와 망투자비, 인건비 등 각종 영업 비용을 빼고도 이동통신 3사는 10년간 18조가 넘는 초과이익을 냈다”며 “이들이 충분히 LTE 반값통신비를 시행할 여력이 있다”고 밝혔다.

참여연대에 따르면 이들이 2012년부터 2019년까지 벌어들인 초과이익은 11조1566억원에 달한다. 지난해와 올해 초과이익을 추정한 결과를 합하면 10년간 벌어들인 수익은 18조6023억원이다. 이동통신사별로는 ▲SK텔레콤 10조98억원 ▲KT 4조6395억원 ▲LG유플러스 3조9529억원 등이다.

참여연대는 LTE 서비스의 투자비가 상용화된 5년이 지나면서 손익분기점을 넘었고, 이후 약 5년 동안 3~4조원 규모의 초과이익을 꾸준히 챙겼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5G 서비스의 높은 요금으로 인해 적자가 예상보다 크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마케팅비를 줄여야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참여연대 관계자는 “이통3사가 영업이익의 2~3배에 달하는 연 7조원의 마케팅비를 절반만 줄여도 LTE 서비스에서 50조원의 초과이익을 거두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동통신 영역에 가격거품과 가장할인 판매 행태 등을 엄격히 규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LTE 서비스 하나만으로 10년 동안 막대한 초과이익을 거둔 상황에서 이동통신서비스가 공적 규제를 제대로 받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며 “독과점 통신기업의 돈벌이 수단으로 악용되는 것은 아닌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범석 참여연대 통신비분과장은 “내년이면 20조원이 넘는 초과수익을 거둘 것으로 예상되는 이동통신 3사가 충분히 LTE 반값통신비를 시행할 여력이 있다”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서비스 중요성과 공공성이 더욱 확대되는 상황이다. 여야 대선후보들에게 LTE 반값통신비 공약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