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원 적어 파업 가능성 낮아, 반도체 불안정 영향
회사급여제도 문제점 외부에 알리는 성과에 그칠 것

삼성전자가 창립 53년 만에 파업사태와 마주할 위기에 처했으나 가능성이 높진 않은 것으로 관측된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삼성전자가 창립 53년 만에 파업사태와 마주할 위기에 처했으나 가능성이 높진 않은 것으로 관측된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삼성전자가 창사 이래 처음으로 노동자 파업 위기에 직면했다. 하지만 실제 파업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일각에서는 삼성전자의 급여제도의 문제점을 외부에 알리는 성과에 그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고용노동부 중앙노동위원회(이하 중노위)는 4일 오후 3시쯤 삼성전자 노조의 노동쟁의 조정신청을 접수했다. 노조는 쟁의권을 확보할 명분을 만들고 조정안 결렬 시 파업을 불사하겠다는 각오다.

노조 공동교섭단은 지난해 9월부터 15차례 입금교섭을 진행했으나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했다. 복지의 경우 사측이 노조 의견을 일부 수용해 메모리사업부에 특별 성과급을 지급했지만, 연봉 일괄 인상 건은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노조가 제시한 조건은 전 직원 연봉 1000만원 일괄 인상이다. 일부 직원은 월 초과근무 20시간을 넘겨야 특근 수당을 받을 수 있는 구조에서 낮은 연봉이 문제가 된다고 지적한다. 기본 연봉이 낮은 탓에 특근 수당도 덩달아 낮게 잡히는 셈이다.

사측은 지난해 3월 협상에서 결정한 사항 이상으로 올리긴 어렵다는 입장이다. 노동쟁의 조정신청 후 열흘간의 중노위 조정기간 동안 합의하지 못하거나 조정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노조에 파업 쟁의권이 생긴다.

하지만 업계는 삼성전자사무직노조, 삼성전자구미지부노조, 삼성전자노조동행, 전국삼성전자노조 등 사내 4개 노조로 구성된 공동교섭단의 조합원 수가 소수라 실제 파업으로는 이어지지 않을 것으로 본다.

업계 관계자는 “노조 조합원이 4500여명으로 삼성전자 직원 11만명의 4.5%에 불과하다”며 “메모리사업부에 특별 성과급을 주면서 4노조인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의 명분도 약화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사업장 별로 노조가 있고 이들의 연합체로 구성된 것이 지금의 조합"이라며 "영향력이 적은 탓에 파업 효과가 크지 않겠으나 낮은 연봉으로 인한 특근 수당 등의 불만을 알리는 효과는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노조가 파업을 강행하면 기업에 미칠 피해가 짐이 된다. 조합원 수는 적지만 반도체사업부가 합류하면 반도체 생산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 현재 글로벌 반도체산업은 미국과 중국 등 각국이 사활을 걸고 기술과 생산기반 확보 경쟁을 벌이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누가 뭐래도 삼성전자는 대한민국 최고 기업이고 노조원들은 고임금 노동자라고 할 수 있는데 지금 같은 민감한 시기에 파업을 하면 그 정당성이 퇴색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