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적모임 8명·영업시간 자정까지 연장 의견 나와

방역당국은 방역·의료 전문가와 자영업자 단체 등 각계 의견을 수렴해 오는 1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거리두기 조정안을 확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서울와이어 DB
방역당국은 방역·의료 전문가와 자영업자 단체 등 각계 의견을 수렴해 오는 1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거리두기 조정안을 확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오미크론 변이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60만명을 넘어서면서 증가세가 매서운 가운데, 정부가 방역완화를 검토한다.

16일 방역당국은 일상회복지원위원회 서면회의를 열고 거리두기 조정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경제·민생분과를 중심으로 사적모임 인원을 8명까지 확대하고,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은 자정까지 연장하는 의견이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방역당국은 지난 4일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을 발표하면서 앞으로 거리두기 조치를 본격적으로 풀겠다고 밝혔다. 이에 방역조치 완화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정부는 유행이 정점을 지나면 ‘엔데믹'(풍토병화) 전환 가능성도 고려해 일상회복을 추진하겠다고 계속 밝혀왔다.

16일 오전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김부겸 국무총리는 “방역당국은 일상적 의료체계에서도 코로나 대응이 가능하도록 현재 ‘1급’으로 지정된 감염병 등급을 변화된 상황에 맞게 조정하는 방안을 의료계와 함께 논의해 주기 바란다‘고 말해 코로나19 풍토병화를 시사했다.

정부의 이 같은 움직임에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가 16일 저녁 CBS라디오 ‘한판승부’에 나와 “지금이라도 위기라고 말해야 한다”며 “무슨 생각을 하는지 모르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부가 현재 보이는 태도는 “하루에 500명씩 죽어도 그냥 한 몇 주 지나면 지나갈 거니까 그냥 그렇게 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또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현재 의료체계가 붕괴 직전인 상황을 국민들께 솔직하게 고백하고, 국민들이 개인적인 감염 예방 노력에 동참해 주시길 호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독감 치명률과 비교하는 건 말도 안 되는 말장난”이라며 “독감이 확진자 기준으로 하루 40만명씩 발생해본 적이 있나? 독감도 환자가 하루 40만명씩 나오면 의료체계가 붕괴된다”고 날을 세웠다.

당국은 방역·의료 전문가와 자영업자 단체 등 각계 의견을 수렴해 오는 1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거리두기 조정안을 확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