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김남규 기자]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 24일 도입된 라게브리오 초도물량 2만명분이 26일부터 감염병전담병원 등 의료 현장에 공급된다.
라게브리오는 머크앤드컴퍼니(MSD)가 개발한 먹는 코로나19 치료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23일 라게브리오에 대한 긴급사용 승인을 결정했다. 지금까지 식약처가 승인한 먹는 코로나19 치료제는 팍스로비드가 유일했다.
질병관리청은 오는 27일 8만명분의 라게브리오를 추가로 도입하고, 이달 말까지 총 10만명분을 도입할 계획이다.
라게브리오 투여 대상은 코로나19 증상이 나타난 지 5일 이내인 60세 이상 환자와 40세 이상 기저질환자, 면역저하자 중 기존 치료제 사용이 어려운 환자 등이다. 임신부나 만 18세 미만 소아·청소년 환자는 투약 대상에서 제외된다.
식약처는 다른 코로나19 치료제를 사용할 수 없거나 임상적으로 적절하지 않은 환자에게만 라게브리오를 처방할 수 있도록 했다.
팍스로비드는 입원·사망 예방 효과가 30% 수준으로, 라게브리오의 경우 팍스로비드보다 효과가 현저히 떨어진다. 하지만 신장·간 기능이 떨어져 팍스로비드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한해 라게브리오를 투여하도록 했다.
한편, 팍스로비드는 24일 기준으로 총 16만3000명분이 도입됐다. 이 중 11만3783명에게 사용돼 4만8947명분이 남아있다.
- LG디스플레이, 中 제치고 TV 디스플레이 1위 탈환
- 尹 당선인 “국정과제 세팅 시, 실용주의·국민 이익 중요”
- 유엔 안보리, 北 ICBM 규탄 언론성명 채택 무산…中·러 반대
- 文·尹, 내주 초 회동 전망… 감사위원 갈등 해소로 협의 급물살
- [내집 마련 캘린더] 3월 마무리하는 이주의 '청약일정'
- 테슬라, 또 리콜… 후방 카메라 이미지 지연
- 푸틴, 5월9일 전까지 ‘종전 선언’ 할 듯
- 신규 확진자 31만8130명… 위중증 1216명·사망 282명
- 미국은 부자증세 추진하는데… 한국 재계는 인하 요구
- "시간·비용 다 잡는다" 제약업계, AI 활용 본격화
김남규 기자
ngkim@seoulwir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