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말 기준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여신 잔액은 각각 26조9504억원, 9조1600억원으로 집계됐다.  사진=서울와이어DB
지난달 말 기준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여신 잔액은 각각 26조9504억원, 9조1600억원으로 집계됐다.  사진=서울와이어DB

[서울와이어 주해승 기자] 올해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이 꾸준히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들은 홀로 증가세를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 기조 속에서 인터넷은행이 시중은행보다 공격적인 금리 인하 마케팅을 펼쳤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일 은행권에 따르면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는 가계대출 잔액이 7개월 연속 증가했다. 지난달 말 기준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여신 잔액은 각각 26조9504억원, 9조16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달 대비 카카오뱅크는 1341억원, 케이뱅크는 4300억원이 늘었다. 

토스뱅크는 여신 잔액을 공개하지 않았다. 그러나 토스뱅크도 출범 초기인 데다 공격적으로 영업을 확대하고 있는 만큼 대출 증가세를 이어갔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반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지난달 가계대출 잔액은 7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전달보다는 2조2155억원이 줄었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대출 잔액 증가는 전세대출, 주택담보대출의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인터넷은행이 시중은행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를 제공하면서 고금리 이자 부담으로 대출을 망설이는 이들을 공략했다는 것이다. 

지난 6월 카카오뱅크는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최대 0.5%포인트 인하했다. 케이뱅크도 전세대출과 아파트담보대출 금리를 최대 0.41%포인트 인하했다.

예·적금 등 수신상품 잔액은 케이뱅크가 더 많이 늘었다. 케이뱅크의 지난달 말 수신 잔액은 13조3300억원으로 전달보다 1조1500억원 급증했다. 이는 케이뱅크가 잇달아 고금리 상품을 선보였기 때문이다. 

케이뱅크는 지난 6월 최고 연 5% 금리를 제공하는 적금 특판을 진행했고, 지난달에는 최고 연 3% 금리를 제공하는 ‘코드K정기예금(100일)’을 특판했다. 카카오뱅크의 지난달 수신 잔액은 전달보다 5274억원 감소한 32조6534억원이었다.

앞으로 대출금리가 더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인터넷은행이 공격적인 금리 인하 마케팅을 이어갈 경우 대출 활황도 당분간 계속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지난 6월 기준 은행권의 가계대출 평균 금리는 연 4.23%로 8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시장에서는 한국은행이 현재 연 2.25%인 기준금리를 연내 연 3%까지 올릴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