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7월 서울 아파트 증여 건수 337건, 전체 7.2% 차지
주택 증여 비중 늘어날 확률↑… "주택 매각 의지 높다"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서울 아파트 증여 비중이 2년8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 7월 서울 아파트 증여 건수는 337건으로 서울 아파트 전체 거래량(4651건)의 7.2%를 차지했다. 전월(11.2%)대비 4%포인트 낮아진 수치로 2019년 11월(6.1%) 이후 2년8개월 만에 가장 낮은 건수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증여 비중은 올 1월 10.2%에서 4월 23.1%까지 증가했다. 5월에도 17.2%로 비교적 높은 비중을 유지했지만 7월들어 한 자릿수로 감소했다.
자치구별로 보면 지난달 용산구의 증여 비중이 10.7%를 기록하며 전월(15.7%)보다 줄었고 성동구도 6월 20.4%에서 7월 2.3%로 급락했다. 강남구도 같은 기간 34.7%에서 13.8%로 감소했고 송파구도 15.4%에서 4.1%로 줄었다.
수도권인 경기도와 인천 아파트 증여 비중은 각각 10.9%, 11.8%를 기록하며 전월(4.3%, 3.0%)보다 높아진 것과는 다른 양상이다. 전국 아파트 증여 비중도 전체 거래량 중 7.9%를 차지하며 전월(5.2%)보다 커졌다.
올 7월 서울 주택 전체(아파트·단독·연립주택 포함) 증여 비중도 8.6%로 전월(9.7%)보다 줄었다. 이는 지난해 9월(7.8%)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이처럼 주택 증여 비중은 앞으로 늘어날 확률이 높다. 정부의 양도세 중과 한시 배제 조치가 시행되는 2023년 5월 이전까지 증여하는 것이 유리하고 2023년 6월1일 보유세 부과일을 기점으로 이전에 주택 수를 줄이려는 다주택자가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 태풍 힌남노 한반도 상륙 이틀전...벌써 제주는 물폭탄 '비상'
- 일본 태풍 힌남노 비상...오키나와 열도 3천가구 정전
- 최악 태풍 힌남노 가속...6일 새벽~오후 서귀포-경남해안-부산-독도 관통
- [날씨] 힌남노 영향, 전국 최대 300㎜ 비… 제주산지는 600㎜ 이상
- 검찰, 대우조선 하청노조 지회장·부지회장 구속영장 반려
- 초강력 태풍 '힌남노' 공포로 제주 관광객 다 떠났다
- 국민 세금으로 갚는 '적자성 국가채무', 내년 700조원 돌파
- 고환율 장기화 우려 심화… "원유 관세 인하 등 대책 필요하다"
- 납세자 혼란 줄어드나… 7일 종부세 특별공제 마지막 갈림길
- [메타센서] 아파트 가격 폭락에 반값 급매까지… 거품 붕괴 가속
- 국회, 7일 종부세법 개정안 처리… 특별공제 여전히 불투명
- 정부, 15억 초과 아파트 대상 주택담보대출 허용 검토
- [메타센서] '금리인상·거래절벽·공급폭탄' 삼중고… 집값 대폭락 경고음
- 추석연휴 이후 꼭 챙겨야 할 단지·청약일정은 어디?
- 지난해 종부세 체납액 5000억원 ...2배 폭증, 사상최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