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보벌 메이저 선급과 협업… ‘탄소중립’ 실현 박차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가스텍 2022’에서 친환경 기술력의 위상을 강화했다. 회사는 올해 행사에서 국내외 메이저 선급과 손잡고 탄소중립 선박 기술개발을 위한 협력을 맺었다.
대우조선해양은 세계적 가스 전문 박람회로 손꼽히는 가스텍에 참가해 글로벌 메이저 선급인 ▲미국 ABS ▲영국 로이드(LR) ▲프랑스 BV ▲한국선급(KR) 등으로부터 탄소중립 선박을 위한 기술을 승인받았다고 8일 밝혔다.
회사는 이번 행사에서 10만㎥급 초대형 액화 이산화탄소 운반선(LCO2 Carrier)에 탑재할 화물 탱크를 대상으로 기본 승인(AIP)을 획득했다. 적재 중량을 늘리기 위해 최초 개발한 ‘비대칭 구조(Bi-Lobe Type)’탱크가 해당 선박에 적용됐다.
화물 탱크는 액화 이산화탄소 적재량을 기존 실린더 구조 탱크 대비 50%가량 증가해 운송 효율성을 높일 전망이다. ABS로부터는 초대형 액화천연가스(LNG) 선박용 하이브리드 파워시스템(Hybrid power System)에 대한 기본 승인을 받았다.
시스템은 기존 전력원에 이차전지 기반의 에너지 저장장치(ESS)를 포함한 개념이다. 유람선이나 일부 셔틀 탱커에 한정적으로 적용됐던 기술을 대형 LNG 선박에 접목한 것이다. 선박에 적용될 경우 발전기 엔진 운전 의존도를 낮추는 동시에 연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회사는 차세대 탈탄소 선박 개발을 위해 미국 ABS선급과 총 3건의 기술 관련 협업을 약속하는 등 다양한 성과를 올렸다. 대우조선해양은 ABS와 탈탄소 선박 개발을 위한 공동개발 프로젝트(JDP) 추진을 위한 협의체도 구성했다.
이에 운항 중인 선박들을 대상으로 각종 환경규제와 종합적인 선박 성능을 검증·평가할 계획이다. 회사는 글로벌 해운업계의 수요를 면밀히 예측해 시장의 요구 수준에 부합한 최적의 탈탄소 선박 개발을 위한 방향을 설정한다는 방침이다.
대우조선해양은 이와 함께 대체 연료로 주목받는 암모니아 추진선 개발에도 나섰다. 영국 선급 로이드(LR), 독일 엔진 개발사인 MAN-ES 등과 암모니아 추진 초대형원유운반선(VLCC) 개발을 위한 활동을 지속해왔다.
회사는 행사를 통해 전체 설비의 안전성 검토(HAZID)를 마치고, 로이드선급으로부터 암모니아 추진 VLCC에 대한 기본 인증(AIP)을 공식 획득하게 됐다. 3사는 지속적인 공동 연구개발로 오는 2025년까지 해당 선박 개발과 상용화를 구체화한다는 목표다.
아울러 대우조선해양은 암모니아 전용 운반선 개발을 위한 기본 승인(AIP), 한국선급과 2건의 기술협약, 친환경 추진시스템 공동개발 업무협약(MOU), 중형급(4만㎥) 액화 이산화탄소 운반선(LCO2 Carrier) 공동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등 관련 활동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온실가스 감축은 업종을 막론하고 전 세계적인 관심사이자 핵심 화두가 됐다”며 “회사는 탄소중립 선박 실현을 위해 기술개발 활동에 박차를 가할 것이며 압도적인 기술력으로 글로벌 경쟁에서 선두 자리를 유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대우조선, '친환경 연료기술 확보' 나서… 노르웨이 선급과 맞손
- 대우조선해양, '무탄소' 추진선 개발사업자로 선정
- 대우조선·삼성重·HSD엔진, 차세대 선박엔진 개발 '맞손'
- 현대중공업그룹, '차세대 선박' 기술 선두주자로 우뚝
- 삼성중공업, 50주년 맞은 '가스텍' 참가… 미래에너지 기술 선봬
- 중국에 1위 내준 한국 조선3사… "양보다 질로 승부"
- 대우조선·한국선급, 국내 조선산업 맞춤형 'ESG평가 지표' 개발
- 대우조선해양, 전동화 'LBTS' 구축… 기술 경쟁력 강화 가속화
- 대우조선해양, 그리스 최대선사와 '각별한 인연' 눈길
- 대우조선해양, 미 CB&I사와 '대형액화수소운반선' 기술개발 협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