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박정아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이용한 시장 교란 행위에 대해 유념해 보고 있다”며 “필요한 부분은 수사 기관과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11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융감독원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이 원장은 빗썸, 쌍방울 등 CB와 BW 관련한 불공정거래를 신경 써야 하지 않느냐는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의 지적에 이같이 답변했다.
이 원장은 “투자조합 형태로 만들어 규제는 회피하면서 미공개정보를 이용해 시장 불공정 거래가 있을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대처를 했어야 했는데 미진한 아쉬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금감원과 검찰, 금융위원회와 협의해야 할 부분이 있는데 각 기관 간 협의 결연성이 떨어졌다”며 “각자 역할에 대한 주인의식이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지적한 대로 시장교란 행위에 대해 유념해 보고 있다”며 “개별 종목과 관련해서는 검찰이나 수사기관에서 많이 진행 중이라 필요한 부분은 수사기관에 협조를 하되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기는 조심스러운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날 윤 의원은 빗썸의 최대주주인 비덴트 실소유주로 지목된 강종현씨와 쌍방울 등의 무자본 인수 의혹을 제기했다.
윤 의원은 “최근 언론보도에서 ‘빗썸 회장’ 명함을 가지고 다녔다는 사람이 실소유했다는 비덴트와 인바이오젠, 버킷스튜디오 등의 CB와 BW 발행을 살펴보면 5000억원 이상 찍어 시가총액보다 많다”며 “인수주체는 전부 조합이다. 특정 그룹에 전환사채를 미리 넘겨줘 전환될 때 재료를 만들어내는 것처럼 보인다”고 지적했다.
또한 “회사가 특정인들에 의해 머니게임의 놀이터가 되는 게 아닌가 의심스러운데 이건 작년에 문제가 된 쌍방울 논란과 닮았다”며 “쌍방울의 경우 착한이인베스트를 통해 페이퍼컴퍼니를 만들고 CB를 인수해 주식전환, 장내 매도로 이익을 낸 뒤 어디로 갔는지 알 수도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모전환사채를 이용해 머니게임하고 있는 부분이 보인다”며 “상장사라는 프리미엄을 이용해 특정인이 수익을 가져가고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것을 금감원이 신경써야한다”고 말했다.
- 금감원, 이상 해외송금 검사 이달 마무리… 위반 엄중 조치
- 금감원, NH선물서 7조원대 '이상 외화송금' 정황 포착
- 이복현 “태양광 대출, 국민 관심 커… 이번 주 점검 결과 공개”
- 금감원 '업무혁신' 로드맵 발표… "신뢰받는 감독기관으로 재탄생"
- 박민영, 인바이오젠 실소유주와 열애설에… 친언니, 사외이사 물러나
- 박민영 언니, 열애설 논란 하루 만에 사외이사 사임
- SGC이테크건설, 동절기 대비 화재 예방 안전 캠페인 실시
- 코스피, 기관 순매도에 1.8%대 급락… 2190선대로 추락
- 원/달러 환율, 1430원대 출발 후 상승 전환 전망
- KB증권, 콴텍과 연금저축 서비스 오픈
- 금감원, 200억원 부당 이득 '주식 리딩방' 사건 검찰에 신속 이첩
- 금감원 "자금시장 악성루머 등 허위 사실 유포 단속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