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열사 자율 경영방침 변경… 공동체 얼라인먼트센터 운영
콘텐츠, 쇼핑 등 글로벌 진출 위주 전략, 국내 불안정성 완화

카카오가 문어발 확장 정책 기조를 전면검토할 계획이다.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이 24일 국감에서 관련 내용을 직접 밝혔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카카오가 문어발 확장 정책 기조를 전면검토할 계획이다.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이 24일 국감에서 관련 내용을 직접 밝혔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이 카카오의 문어발 확장 정책을 전면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그 방법에 관심이 모인다. 공격적인 확장보다는 주력 사업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김 센터장은 24일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에서 증인으로 출석해 향후 카카오의 확장 계획 등에 대한 질문을 받았다. 이번 SK C&C 화재 사태로 불거진 카카오 먹통 사태의 근본적인 원인이 외연확장에 집중한 탓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정필모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관리 시스템 부재, 빅테크 플랫폼기업 독과점으로 인한 불완전 경쟁이 서비스 관리 부실로 이어진다는 지적이 나왔다”고 말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국회의원도 "카카오가 회사를 키우는 데만 급급하다보니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안전수칙, 데이터센터 이중화 등에 대한 부분을 게을리해 국민적인 질타를 받고 있다"며 "재난 대응에는 미흡하면서 문어발식 확장에만 몰두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못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김 센터장은 무료 서비스인 카카오톡이 사업 초창기 수익을 낼 수 있던 방식인 점을 인정했다. 그는 "신규 서비스를 할 때 필수적으로 다른 투자자들의 돈을 받을 수밖에 없었고 회사의 계열사를 만들어 투자받는 형태로 사업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어 "지금은 글로벌이나 카카오 핵심적인 사업 외에는 진행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기업공개(IPO)를 준비하는 계열사들이 남아있으나 카카오의 경영방침은 올해 들어서면서 크게 바뀌었다. IPO로 투자금을 끌어와 성장하는 스타트업식 운영의 한계가 지난해부터 드러난 탓이다. 회사는 올해부터 카카오 공동체 얼라인먼트센터를 통해 중앙에서 계열사를 조율하고 있다. 기존에는 계열사 중심 자율 경영이 기본 방침이었다. 

카카오는 올해 ‘비욘드 코리아’를 목표로 세우고 글로벌 진출을 준비하고 있었다. 웹툰, 웹소설 등 콘텐츠사업을 중점 사업으로 내세워 북미시장을 공략 중이었다. 이를 위해 타파스와 래디쉬 등 글로벌기업을 인수해 타파스엔터테인먼트를 출범했다.

올해 IPO로 시장 기대를 모았던 카카오모빌리티의 사업 지속 전략마련도 시급하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골목상권 침해 논란 중심에 서면서 뭇매를 맞고 매각 직전까지 몰린 바 있다. 카카오 노조의 반발로 매각은 무산됐다.

업계에서는 신사업과 대외 접촉을 담당하던 남궁훈 전 카카오 대표의 퇴진 공백도 문제라고 지적한다. 카카오는 권미진 카카오 수석부사장에게 신사업 지휘를 맡기고 내부정리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홍은택 카카오 대표 단독체제로 전환되면서 경영 공백이 생길 수 있다“며 ”권 부사장이 카카오게임즈 시절부터 남궁 대표를 보좌한 덕에 사업 공백을 최소화할 수는 있겠지만 사업 규모를 고려하면 홍 대표를 도울 인력이 더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