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박정아 기자] 구글이 최근 인도에서 두 차례에 걸쳐 총 4000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25일(현지시간) AFP통신 등에 따르면 인도 반독점 조사기관 인도경쟁위원회(CCI)는 불공정한 지불 정책을 이유로 구글에 1억1300만달러(약 1700억원) 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구글 안드로이드 모바일 운영체제는 현재 인도 스마트폰의 95%에서 구동된다. 구글은 개발자에게 구글플레이를 통해 안드로이드에서 소프트웨어를 배포하고 이익을 얻을 때 자체 요금 부과 시스템을 사용하도록 한다. 위원회는 이 부분이 독점적 지위 남용이라고 지적했다.
위원회는 “구글의 일방적이고 자의적인 요금 부과 관행으로 개발자는 원하는 방식으로 지불할 수 있는 선택권을 잃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앱 제조사가 다른 회사의 청구 시스템을 사용하고 경쟁사의 결제 처리 서비스를 취급할 수 있도록 허용하라고 구글에 명령했다.
앞서 위원회는 모바일 기기 관련 반경제행위를 이유로 지난 20일 2321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이는 구글이 인도에서 모바일 제조사가 안드로이드 외 다른 운영체제의 기기를 개발, 판매하지 못하게 제한하고 구글이 만든 앱을 사전 탑재하도록 강요했다는 이유였다.
- 여론 반대 부딪힌 망사용료법… 24만명이 ‘반대’
- 망사용료법 여론전 들어간 구글, 흔들리는 과방위 국감
- 올해 국감 현안은 망사용료 갑질… 구글·넷플릭스 임원 증언대 세운다
- 한국만 개인정보제공 강제… 구글·메타 1000억 과징금
- 구글-카톡 싸움에 방통위 등판… 갑질 횡포 본격 조사
- 구글 갑질 다음은 메타 개인정보 강요… 뿔난 시민단체들 약관개정 요구
- 해외는 구글 '인앱 결제' 어떻게… 공정위, 연구용역 착수
- [구글 강점기 ③] 인앱결제강제금지법 이대로 유명무실?
- [구글 강점기 ②] 게임사는 수수방관?… 복잡한 업계 속사정
- [구글 강점기 ①] 앱마켓 수수료 인상 후 살얼음판 걷는 콘텐츠시장
- '설레는 첫 만남' 김연아, 고우림에 "이유 모를 강한 끌림 느꼈다"
- 뉴욕증시, MS·구글 실적 실망에 하락… 나스닥 2.04% ↓
- "아내가 사라졌어요"… 하루 뒤 5m 비단뱀 뱃속서 발견 '충격'
박정아 기자
jewel@seoulwir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