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김남규 기자] 우리카드는 데이터 분석 리포트 ‘우리 트렌드’를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우리 트렌드’는 우리카드 회원의 결제 정보를 활용한 유익하고 복합적인 데이터 분석 자료를 제시한다. 이달 첫 선을 보이며 향후 다양한 주제로 흥미로운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이번 영상편은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에 따른 일상회복으로 영화관 및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OTT) 이용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영화관 이용 회원수는 전년 대비 2020년에 60.8%, 2021년에는 16.4% 감소했으나, 올해는 120.3% 대폭 증가했다. 20대와 30대는 전년 대비 55.9%, 98.9% 증가했고, 40대와 50대는 각각 145.0%, 177.0%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코로나 직후인 2020년 1분기 영화관 이용 회원수는 전분기 대비 6.3%에 불과했으나, 올해 7월에는 98%까지 회복되어 코로나 이전 수준에 근접했다.
관람료인상 및 프리미엄관 이용증가 등으로 영화관 평균 결제액도 지난해 1만5300원에서 올해 1만7400원까지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30대 이하 회원이 1만5500원에서 1만7100으로 증가했고 40대 회원은 1만5300원에서 1만7900원으로 더 크게 증가했다.
회복세의 영화관과 달리 OTT의 경우 성장세가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다. 2020년 1월 전년 대비 이용회원 증가율은 168.7%에 달했으나 2021년 1월에는 94.6%, 2022년 1월은 30.6%까지 하락했고 2022년 10월에는 2.1% 수준까지 감소했다.
지난해 대비 연령별 증가율은 30대가 0.5%p, 40대가 3.0%p, 50대가 17.4%p 증가했지만 20대는 7.4%p 역성장했다.
같은 기간 이용회원 비중은 40대가 27.6% 에서 27.9%로, 50대가 15.7%에서 18.0%로 증가했고 20대는 22.2%에서 20.1%, 30대는 34.5%에서 34.0%로 떨어졌다.
OTT를 가장 활발하게 이용하고 있는 연령대는 2030세대로 2개 이상 OTT를 이용하고 있는 비중은 20대가 12.9%, 30대가 12.5%로 가장 높았으며, 40대와 50대는 8.0%와 6.6%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우리카드 데이터영업센터 관계자는 “일상회복을 경험하면서 취미 및 여가 활동을 찾아가고 있는 과정으로 보인다”며 “영화관은 점진적 회복을 이어가고, OTT는 기존에 상대적으로 덜 노출되었던 40∼50대를 중심으로 시장을 확대해 나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 신한은행, 신한PWM ‘YOUNG PB’ 선발
- 김포에 4.6만호 신도시급 신규택지 조성… 5호선 연장사업도 추진
- 쌍용차 '1년6개월' 긴 회생절차 종결… 새 출발 다짐
- 럭셔리 SUV 대명사, '올 뉴 레인지로버 스포츠' 국내 첫선
- KDI "한은, 빅스텝 더는 안 된다"… 이창용 호응할까
- ‘서해 피격’ 김홍희 前 해경청장 석방… 법원, 구속적부심 인용
- 국방부 "미국과 탄약 수출 협의 중… 우크라 지원 위한 것 아니다"
- 러, 헤르손 철수로 전황 중대 분수령..."푸틴 가장 굴욕적 좌절"
- 尹 지지율 1%p↑… 30%대 재진입 [갤럽]
- 11월 수출 2.8% 감소… 올해 누적 무역적자 376억달러 돌파
- 추경호, 文 풍산개 반환에 “비용 지급 규정 없어… 현실적인 문제 있다”
- "역시 리니지" 엔씨, 3분기 영업익 1444억원… 전년비 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