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무인기.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 사진=연합뉴스
북한 무인기.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김남규 기자] 북한 무인기가 2017년 이후 5년 만에 대한민국 영공을 침범해 군이 대응 사격에 나섰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26일 오전 10시 25분 경기도 일대에서 북한 무인기로 추정되는 비행체 여러 대가 포착됐다. 

군은 미상 항적을 경기 김포 전방 군사분계선(MDL) 이북에서부터 포착한 후 이를 무인기로 식별하고 여러 차례 경고 방송과 경고사격을 실시했다. 공군 전투기와 공격헬기 등도 투입해 격추 작전에 나섰다.

북한 무인기들은 경기 김포·파주와 강화도 일대로 넘어와 각기 다른 형태의 항적을 보였다. 일부는 민간인과 마을이 있는 지역까지 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군은 레이더 등 탐지자산뿐 아니라 육안으로도 무인기를 식별했다. 무인기 크기는 2014년 남측에서 발견됐던 북한 무인기들과 비슷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오전 11시 39분 공군 원주기지에서 이륙 중 추락한 KA-1 경공격기도 북한 무인기 대응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투입됐다가 사고가 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 무인기의 영공 침범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5년 전인 2017년 6월 9일에도 북한 무인기가 침공한 후 강원 인제 야산 추락해 우리 군에 의해 발견된 바 있다.

당시 이 무인기는 경북 성주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기지까지 내려가서 일대를 촬영한 것으로 확인됐다.

2016년 1월에도 경기도 문산 지역에서 북한 무인기가 MDL을 넘어왔다가 군의 경고사격을 받고 돌아간 적이 있다. 2014년에는 경기 파주, 강원 삼척, 백령도 등에서 북한 무인기 잔해가 발견됐다.

군이 이번 무인기를 발견 즉시 격추하지 않은 이유는 민간인 피해를 우려해서라고 밝혔다. 특히 무인기를 격추하기 위해 군이 발사한 탄이 MDL을 넘어갈 경우 군사적 긴장이 고조될 수 있다는 점도 고려됐다.

한편, 이날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의 운항이 중단된 것 역시 무인기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진행된 결정이라고 군은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