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상경화증 늘면서 심근경색 환자 증가
당뇨와 고혈압 등 위험인자 관리가 중요
흡연, 혈관 건강에 치명적… 반드시 금연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일교차가 커지면 발생률이 증가하는 질환이 있다. 바로 중년 남성에게 잘 나타나는 ‘심근경색증’이다. 심근경색증은 심장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인 관상동맥이 급성으로 막혀 심장 일부에 괴사가 생기는 질환이다.
최근 5년간 발병률이 증가하는 가운데, 남성 환자 수 비율이 77.5%에 달한다. 또 60대 환자가 30%를 상회한다. 이에 박현우 순천향대 부천병원 심장내과 교수와 함께 일교차가 큰 요즘 특히 조심해야 하는 심근경색증에 대해 알아봤다.
심근경색의 주요 증상은 찢기는 듯한 극심한 가슴 통증이다. 상복부가 답답하고 불편한 증상과 호흡곤란 등이 나타날 수 있는데, 소화기 질환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가슴 통증을 호소하다 갑자기 쓰러지면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이 지나가면서 혈압이 떨어져 심정지가 발생할 수도 있다.
박 교수는 “최근 우리나라 심근경색증 환자가 증가하는 이유는 심근경색증을 일으키는 죽상경화증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죽상경화증은 혈관 내부가 손상되면서 급성으로 혈전이 생기는 혈관질환이다.
그는 “심근경색증으로 인한 사망률은 약 30%로 알려졌지만, 병원 도착 후 사망률은 5~10%로 보고된다”며 “증상을 빨리 확인하고 병원에 오면 사망률이 확연히 감소하기 때문에, 평소 자신의 건강 상태를 인지하고 심근경색증 의심 증상이 발생하면 신속하게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근경색증으로 응급실에 내원하면 가장 먼저 심전도와 피검사를 진행한다. 환자 증상과 심전도를 확인해 혈관이 완전히 막힌 것으로 보이면,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해 진단한다.
심근경색증으로 진단되면, 스텐트를 이용한 관상동맥 중재시술로 막힌 혈관을 뚫어준다. 이후 혈전을 없애기 위해 아스피린과 같은 항혈소판제제와 헤파린과 같은 항응고제를 사용한다.
또 죽상경화증을 줄이거나 진행 속도를 늦추기 위해 스타틴과 같은 고지혈증 약을 함께 처방한다. 심근경색 후 경색 부위를 중심으로 심장 모양의 변형이 진행되는데, 이때는 예후를 좋게 하기 위해 혈압약을 사용한다. 만약 가족력이 있다면 전문의와 상의해 고지혈증 약을 복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
심근경색증 예방을 위해선 죽상경화증을 발생시키는 당뇨·고혈압·고지혈증·흡연 등 위험인자를 주의 깊게 관리해야 한다. 특히 흡연은 혈관 건강에 치명적이므로 금연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저염식이와 채식을 하는 게 좋고 매일 하루 30~40분 유산소 운동이 도움이 된다. 스트레스도 죽상경화증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스트레스 조절도 필요하다.
박 교수는 “심근경색증은 발생을 충분히 줄일 수 있는 질환”이라며 “건강검진으로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 위험인자를 찾아 조기에 관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가슴 통증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10명 중 1명은 심근경색”이라며 “고령이고 죽상경화증 위험인자가 있는 상태에서 증상이 생기면 지체없이 응급실을 가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 [내몸 관리 지침서] 암, "수술이 끝 아니다"… 일상복귀 위한 재활법은?
- [내몸 관리 지침서] 우리아이도 거북목증후군?… 척추질환 '비상'
- [내몸 관리 지침서] 설마 우리아이가… 학폭피해 알아챌 수 있는 방법은?
- [내몸 관리 지침서] 잘 잃어버리고, 집중 못하면?… 성인 ADHD 의심해야
- [내몸 관리 지침서] 천차만별 다이어트법… 효과있나?
- [내몸 관리 지침서] 치료하려고 먹은 약이 내 몸에 질병을?
- 인천자생한방병원, 보건복지부 3주기 의료기관 인증 획득
- [내몸 관리 지침서] 돌아온 부킹의 계절… 라운딩 전후 '이것' 필수
- [내몸 관리 지침서] 환절기마다 찾아오는 알레르기비염… 예방법은?
- [내몸 관리 지침서] 우리 부모님도?… 노년층 10명 중 1명이 호소하는 '이 질환'
- [내몸 관리 지침서] 시력 잃을 수 있는 '이 질환'… 10명 중 1명은 20~30대
- [내몸 관리 지침서] 8살 전에 완성되는 우리아이 시력… '이것' 챙겨야
- [내몸 관리 지침서] 드디어 떠나는 해외여행… '이것' 꼭 챙겨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