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2월 관련재판 1심 선고 이후 처음 참고인 신분 소환
김 여사 계좌 동원 의혹에 조작 사실인지 여부 등 확인

권오수 도이치모터스 전 회장이 올해 2월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1심 선고 공판에 참석한 뒤 법정을 나서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권오수 도이치모터스 전 회장이 올해 2월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1심 선고 공판에 참석한 뒤 법정을 나서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검찰이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개입 의혹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실제 주범으로 지목된 권오수 전 도이치모터스 회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올해 2월 도이치모터스 1심 판결 이후 검찰이 권 전 회장을 조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4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김영철 부장검사)는 권 전 회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지난 23일 소환해 조사를 마쳤다. 검찰은 그를 상대로 김 여사 주가조작이 사실인지 여부 등을 집중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권 전 회장은 2009년 12월부터 3년여간 주가조작 선수, 부티크 투자자문사, 전·현직 증권사 임직원 등과 공모해 91명 명의의 157개 계좌를 동원해 도이치모터스 주가를 끌어올린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법원은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 올해 2월 1심 재판을 열고 권 전 회장에 징역 2년과 집행유예 3년, 벌금 3억원을 선고했다. 당시 검찰은 2021년 12월 권 전 회장과 공모자 등을 기소했지만, 김건희 여사는 기소 대상에서 제외했다. 

하지만 1심 재판부가 김 여사의 일부 계좌가 주가 조작에 동원된 사실을 인정하는 등 야권 일각에선 추가적인 수사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도 이날 김 여사 특검범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상정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검찰은 주가 조작에 가담한 것으로 보이는 증권사 관계자 등을 조사했고, 김 여사와 관련된 사항을 확인해왔다. 다만 김 여사 측은 “계좌가 동원됐다고 해서 공범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며 주가조작 혐의 자체를 부인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