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면적 박형 HJT 태양전지·모듈 양산기술' 국첵과제 맡아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HD현대 태양광부문 계열사인 HD현대에너지솔루션이 차세대 기술로 각광받는 초고효율 태양광 제품개발에 박차를 가했다.
HD현대에너지솔루션은 12일 최근 산업통상자원부 국책과제인 ‘대면적 박형 HJT 태양전지 및 모듈 양산기술 고도화’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회사가 총괄하는 국책과제에는 국내 부품·장비 생산기업을 비롯한 태양광 연구기관 및 대학 등 총 8곳이 참여한다.
이번 사업을 통해 2026년까지 초고효율 대면적(M10급) HJT 태양전지 양산이 이뤄지며, 현재 20% 초반 수준에 머무른 태양광 제품의 발전효율이 26%까지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HD현대에너지솔루션은 이와 함께 HJT 관련 소재·부품·장비 상용화도 추진할 방침이다.
국내 태양광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서로 회사에 따르면 현재 상용화된 글로벌 태양전지의 효율은 최대 23% 수준으로, 소수점 단위로 효율 경쟁이 이뤄질 만큼 태양광 업체 간 격차가 크지 않다.
특히 HJT의 경우 발전효율이 30% 이상인 미래 초고효율 태양광 기술 ‘탠덤(Tandem)’과도 호환성이 높아 차세대 기술로 주목도가 높아졌다.
실제 독일 태양광 시장조사기관 ITRPV은 HJT는 물론 고효율 ‘N타입’ 태양광 제품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오는 2026년부터 50%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HD현대에너지솔루션은 국내 산학연 기관들과 활발한 협업으로 탠덤 태양전지 기술개발에 나섰으며, 현대자동차와도 탠덤 모듈 원천기술 개발에 착수하는 등 미래 태양광 기술 확보를 적극 추진 중이다.
HD현대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국책과제를 통해 초고효율 HJT 기반의 탠덤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며 “제로에너지 건축물, 친환경 모빌리티 솔루션 등 다양한 태양광 애플리케이션으로 글로벌시장 선점과 탄소중립 실현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