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가운데) 5월 발명의 날을 맞아 열린  ‘2023 발명왕 시상식’에서 상을 받은 구성원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LG에너지솔루션 제공
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가운데) 5월 발명의 날을 맞아 열린  ‘2023 발명왕 시상식’에서 상을 받은 구성원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LG에너지솔루션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5월 발명의 날을 맞아 ‘2023 발명왕 시상식’ 행사를 열고, 배터리 관련 지식재산권 확보에 혁신적 성과를 낸 임직원을 선정 및 포상했다. 

18일 LG에너지솔루션에 따르면  올해 처음 도입한 발명왕 포상 제도는 구성원들의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개발(R&D)을 적극 장려하고, 특허 등 지식재산권 부문의 압도적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취지에서 마련됐다.

회사는 이날 행사에서 혁신적 특허를 출원한 발명왕과 다수의 핵심 특허를 출원한 출원왕을 선발해 포상을 진행했다. 발명왕은 최근 2년내 등록된 특허 중 대내외 전문가 집단의 공정한 심사를 거쳐 배터리사업에 획기적으로 기여한 6명이 선정됐다. 

금상은 세계 최초로 전기차 배터리 양산에 적용된 전극공정 더블 레이어 코팅 기술을 발명한 이택수 전극기술센터 팀장이 수상했다.

더블 레이어 코팅은 전극의 이중 코팅을 통해 상·하층 특성을 다르게 만들어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 및 충전속도를 대폭 개선한 전극공정 핵심 기술이다.

이외 p자동차전지 파우치 균열 불량률을 감소시킨 파우치 제작 기술(은상, 박성철 책임연구원) p고속 충전을 위한 실리콘계 음극 활물질 적용 기술 (은상, 이수민 책임연구원) p고전압 전지용 신규 전해질 첨가제(동상, 이정민 책임연구원) p배터리 수명퇴화 진단 기술(동상, 배윤정 연구위원) pCNT(탄소나노튜브) 도전재 분산성 향상 기술(동상, 김예린 책임연구원) 등이 발명왕을 수상했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발명왕으로 선정된 특허기술들은 전기차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한 핵심기술”이라며 “시장을 이끌어갈 혁신적인 특허가 발명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출원왕의 경우 모듈 및 팩 안전성 개선 분야에서 총 17개의 핵심 특허 출원에 기여한 장성환 팩개발팀 선임연구원이 선정돼 금상을 받았다.

p오정우 책임연구원(은상) p조민기 책임연구원(은상) p박원경 책임연구원(동상) p임재원 책임연구원(동상) p김영재 책임연구원(동상) 등도 출원왕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한편 현재 소재와 공정, 배터리 핵심기술 분야에서 LG에너지솔루션이 등록한 특허만 2만7000여개에 달한다. 

출원 특허를 포함할 경우 약 4만8000여개로 독보적인 업계 1위 경쟁력을 갖췄으며, 회사는 앞으로도 발명왕 시상식을 비롯한 매년 특허 활동에 대한 포상으로 구성원들의 도전적인 연구개발 활동을 독려할 계획이다.

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은 “회사가 글로벌 배터리시장을 선도할 수 있었던 핵심 원동력은 30여년 간 축적해온 기술 역량과 압도적 지식재산권”이라며 “고객가치를 높이는 구성원들의 도전이 이어질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