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삼성SDI, 판매 호조세 힘입어 '4위와 5위' 기록
CATL, 중국 외 시장서 배터티 탑재량 기준 2위 차지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국내 배터리 3사의 올해 1분기 전 세계 시장 점유율이 전년 동기 대비 5.0% 포인트 하락한 49.0%를 기록했지만, 배터리 사용량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LG에너지솔루션은 중국을 제외한 전기차 배터리 탑재량 기준 해외 시장 점유율에서 라이벌 중국 CATL을 제치고 1위 자리를 유지했다.
8일 배터리 시장조사 전문업체인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3년 1~3월 글로벌(중국시장 제외)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는 약 64.2기가와트시(GWh)로 전년 동기 대비 45.3%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게 전기차시장에 가파른 성장세 속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3사의 사용량 순위도 각각 증가하며, 모두 5위권 안에 이름을 올렸다. 중국시장을 제외한 사용량 순위에선 LG에너지솔루션이 1위를 차지했다.
회사의 전기차 배터리 탑재량은 전년 동기 대비 38.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SK온은 4.6%(7.0 GWh), 삼성 SDI는 54.4%(6.5 GWh) 성장률을 보이며 나란히 4위와 5위에 올랐다.
국내 업계 대표적 경쟁사인 중국 CATL의 경우 자국 시장 외에선 79.6%(15.6 GWh)의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으나, LG에너지솔루션에 밀린 2위를 기록했다. 국내 3사의 배터리 사용량이 증가한 이유는 각 사의 배터리 탑재 모델들의 판매 호조세 덕분은 분석된다.
반면 중국 기업들은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막혀 자국 외 시장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는 데 난항을 겪고 있다. 이와 달리 국내 기업들은 IRA 수혜를 기대하며 북미시장을 중심으로 사업을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SNE리서치는 이와 관련 “지난해에 이어 LG에너지솔루션이 비(非) 중국시장에서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으나 CATL을 포함한 중국 업체들이 빠르게 점유율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IRA로 국내 업체들의 반사 이익이 기대됐지만, 중국 기업들이 합작투자와 같은 우회 방식으로 시장을 확대하는 등 글로벌시장 점유율이 어떻게 변화될지 귀추가 주목된다”고 덧붙였다.
- 중국 배터리 소재업체, 한국이 우회 투자처?… 올해만 '5조원' 투자
- SK이노베이션, 1분기 영업익 3750억원… 전년비 70% 이상 감소
- 구자열 무협 회장 미국에 반도체법·IRA 우려 전달… 바이든 입장은?
- 삼성SDI, 1분기 영업익 '3745억원' ... 역대 1분기 중 최대
- 미 'IRA' 수혜 LG엔솔… 올 1분기 영업이익 전년비 144% 급증
- 카카오톡, 오후 한때 PC·모바일 메시지 수·발신 오류… 이용자들 '혼란'
- 경제 6단체장, 방한한 일본 총리와 면담… "민간기업 간 교류 확대 논의"
- 코로나 격리기간, 이달부터 현행 7일서 5일로 단축될 듯
- CJ제일제당, 1분기 영업익 절반 '뚝'… "내수 부진·원가 부담 영향"
- LG엔솔·스텔란티스 캐나다정부와 '보조금 갈등'… 공장건설 전면중단
- LG엔솔, 이차전지분야 압도적 특허기술… 사내 발명왕 등 포상
- 삼성·LG, 독일 모터쇼 'IAA' 나란히 참가… 뭘 노리나?
- 삼성SDI·SDS, '선임 사외이사제' 도입… 이사회 경영진 견제기능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