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 회의 8일 오후 개최 예정
코로나19 '위기단계' 조정 논의 본격화, 단계 하향 유력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의무 격리 기간이 기존 일주일에서 닷새로 단축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세계보기건기구(WHO)가 비상사태 해제를 선언하면서 정부도 감염병 단계 하향 논의에 들어가는 등 격리기간 단축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8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전문가 자문 기구인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는 오후 코로나19 위기단계 하향과 방역조치 전환을 안건으로 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이번 회의에서 현재 국내에서 유지 중인 감염병 위기 단계 하향 조정이 주요 의제로 오를 전망이다.
자문위는 현 ‘심각’ 단계에서 ‘경계’로 위기단계 조정에 나설 것으로 보이며, 이에 확진자 격리 의무 기간도 단축될 수 있다. 격리기간은 기존 일주일에서 5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WHO의 코로나19 비상사태 해제 직후 “전문가 자문과 위기평가회의를 거쳐 코로나19 위기 단계를 현재의 심각 단계에서 경계 단계로 하향 조정하는 방안을 신속히 확정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단계 조정은 자문위 회의를 거쳐야 하며, 코로나19 관련 최종 의사결정 기구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통해 최종 확정된다. 정부는 이르면 이번주 늦어도 다음주까지 회의를 열고 관련 내용을 결정한다는 구상이다.
위기 단계 조정이 이뤄질 경우 자가 격리기간 단축은 물론 전국에서 운영 중인 임시 선별검사소도 문을 닫는다. 주요 통계 발표도 일 단위에서 주 단위로 변경되는 등 많은 변화가 뒤따른다.
실제 마스크 착용과 확진자 격리는 모두 권고로 전환되고, 유전자증폭(PCR)과 신속항원검사는 유료화된다. 중대본이 주도하는 재난 관리도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가 맡게 된다.
다만 독감처럼 관리할 수 있는 3단계 조정 시기는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내년 조정이 있을 것이란 시각이 지배적이지만, 일각에선 독감과 같은 감염병 등급 조정은 시기상조라는 의견도 있다.
WHO도 비상사태 종료가 팬데믹의 완전한 종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으며, 최근 동남아시아와 중동에서 코로나19 감염 사례가 급증하고 있는 점을 예를 들었다.
이에 정부가 국제사회 흐름에 맞춰 감염단계 추가 조정에 나설 것이란 관측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 경제 6단체장, 방한한 일본 총리와 면담… "민간기업 간 교류 확대 논의"
- WHO, 코로나19 비상사태 해제… 국내도 위기단계 하향
- 질병관리청 "코로나 위기단계 신속 하향"...WHO 코로나 위기 해제
- 김익래 전 다우키움 회장, 사퇴에도 자꾸 커지는 주가조작 의혹
- 국내 배터리 3사, 중국 제외한 글로벌시장서 점유율 약진… LG엔솔 1위
- SK네트웍스, 1분기 영업익 전년비 22.6% 올라… '호텔·모빌리티' 주도
- 3년4개월 만에 찾아온 일상… 내일 엔데믹 본격 돌입
- 코로나19 마지막 일일통계…신규확진 1만8663명
- 코로나 환자 5만 육박에 독감까지 유행… 전문가들 "마스크 착용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