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분기 최대 매출액에도 적자는 여전
"운영 최적화 통한 수익성 지속 개선할 것"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SK이노베이션이 올해 1분기 배터리사업 분기 최대 매출액 달성과 정유사업 호조에 따라 견조한 실적을 올렸다. 실제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다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77.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SK이노베이션은 4일 연결재무제표 기준 올 1분기 영업이익이 374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7.3% 감소했다고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7.7% 늘어난 19조1429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당기순손실은 520억원으로 적자전환했고, 순차입금은 배터리사업 투자 확대 등으로 지난해 말 대비 1조362억원 증가한 15조5510억원을 기록했다.
당장 영업이익의 경우 전년비 대폭 하락했지만, 선방했다는 평가다. 시장 전망치였던 1351억원을 177.5% 웃돌면서다.
사업별로는 배터리사업에서 신규 가동을 시작한 공장들의 램프업(Ramp up)에 따라 성장세를 보이며, 3조3053억원 규모의 분기 최대 매출액을 달성했으나, 일회성 비용 증대로 영업손실이 발생했다.
회사는 3447억원의 손실을 기록하면서 적자탈출엔 실패했지만, 배터리 판매량 증가 및 신규 공장 수율 향상 등으로 영업이익률과 적자 폭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올 1분기 석유사업에서는 2748억원의 영입이익을 올리며 흑자를 냈다.
OSP(중동 산유국의 원유 판매 고시 가격) 하락 영향 등으로 정제마진이 개선된 덕분이다. 여기에 유가 하락세 완화에 따른 재고 관련 손실 축소는 영업이익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화학, 윤활유, 석유개발사업에서는 각각 올 1분기 1089억원, 2529억원, 113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윤활유와 석유개발사업의 경우 판매경쟁 심화 및 매출원가 증가 등으로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재사업도 같은 기간 4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으나, 일회성 비용 소멸·생산 증가 및 비용 개선 등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적자규모는 9억원 축소됐다. SK이노베이션은 2분기 전망에 대해 석유와 배터리사업 모두 수익성이 향상될 것으로 보고 있다.
석유사업 시황의 경우 중국 리오프닝 본격화와 여름철 드라이빙 시즌 등 제품 수요가 양호할 것으로 관측했고, 윤활유사업은 타이트한 글로벌 수급 균형으로 견조한 스프레트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회사는 배터리사업에선 매출액 및 수익성이 지속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는 한편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시행으로 인한 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 수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김양섭 SK이노베이션 재무부문장은 “변동성이 높은 상황에서도 운영 최적화를 통한 수익성을 지속 개선해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유지하겠다”며 “청정에너지 생산, 탄소배출 감축 및 순환경제 중심의 친환경 포트폴리오 개발과 기업가치 제고 중심의 경영 활동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 "탄소감축 의지 담았다"… SK이노, '그린픽처' 새 브랜드 캠페인 전개
- SK이노베이션 이사회, 신임 의장에 ‘박진회 사외이사’ 선임 걸정
- SK에너지, 서울 등 전국 주유·충전소서 '부산 세계엑스포' 유치 지원사격
- SK온 "재정 조달 문제없다, 외부 투자유치 지속될 것"
- SK이노, 아모지에 '5000만달러' 추가 투자… 중장기 '탈탄소' 비전 속도
- 국내 배터리 3사, 중국 제외한 글로벌시장서 점유율 약진… LG엔솔 1위
- SK이노, '에그 3기' 발대식… "2025년까지 환경 스타트업 100개사 발굴·육성"
- 정유업계, 정제마진 상승에 '활짝'… 하반기 반등 가능할까
- 작년 역대급 돈방석 정유사들 실적 추락… 2분기 영업익 '80%' 이상 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