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주 발행 통해 약 4000억원 마련
'배터리 사업' 투자자금 추가 확보

SK이노베이션 배터리사업을 담당하는 자회사 SK온이 미래성장 동력 육성을 위한 추가 자금을 외부로부터 유치했다. 사진=SK이노베이션 제공 
SK이노베이션 배터리사업을 담당하는 자회사 SK온이 미래성장 동력 육성을 위한 추가 자금을 외부로부터 유치했다. 사진=SK이노베이션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자회사인 SK온이 글로벌 금융시장 변화 등 비우호적인 경영환경 속에도 성장동력 마련을 위한 투자자금 확보에 성공했다. 

SK이노베이션은 28일 자회사 SK온이 3757억원 규모의 신주 발행을 결의했다고 공시를 통해 밝혔다.

회사가 발행한 신주는 한국투자프라이빗에쿼티(PE) 이스트브릿지파트너스 등 장기 재무적 투자자(이하 ‘한투PE 이스트브릿지 컨소시엄’)가 취득, 출자를 진행할 예정이다.

앞서 SK이노베이션과 SK온 한투PE 이스트브릿지 컨소시엄은 지난해 11월 자 유치를 위한 주주간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당시 사측은 최대 1조3200억원의 자금 조달이 가능하다고 밝혔고, 지난해 말 기준 투자자금은 8243억원이 확보됐다. 

이번 한투PE 이스트브릿지 컨소시엄 출자는 잔여금액(4957억원)에 대한 일부 후속 절차로 진행됐으며, 사실상 SK온이 공들이는 전기차용 배터리사업 투자금 확보로 이어지게 된 셈이다.

특히 출자에는 사우디아라비아 최대 상업은행인 SNB(Saudi National Bank, 사우디국립은행)의 자회사인 SNB 캐피탈(Capital)도 참여해 최소 1억달러(약 1300억원) 투자를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한투PE 이스트브릿지 컨소시엄 등과 함께 진행됐던 SK온의 자금 확보는 이로써 계획한 규모대로 마무리될 전망이다. 회사는 한투PE 이스트브릿지 컨소시엄 외에도 추가적인 외부 투자자 유치 가능성도 열어놨다. 

한편 SK온에 따르면 글로벌 증권사들을 중심으로 배터리사업 실적 개선에 대한 긍정적인 분석도 나오고 있다. 실제 JP모건은 최근 보고서에서 “SK온이 미국 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 혜택을 통해 올해 약 6억9000만달러(약 9000억원)의 수혜를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양섭 SK이노베이션 재무부문장은 “SK온의 투자재원 확보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차질없이 진행 중”이라며 “회사가 지속적인 성장과 실적 개선을 이뤄내고 이는 SK이노베이션 기업가치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