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SK E&S가 3일 인천시교육청 학생안전체험관에서 환경부, 인천시교육청, 인천시 및 현대자동차와 ‘인천 학생성공버스 수소 통학버스 도입·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행사에는 금한승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 도성훈 인천시교육청 교육감, 조인권 인천광역시 경제산업본부장, 이임철 SK E&S 부사장, 송소동 현대차 인천지역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협약을 통해 SK E&S는 인천시교육청이 새롭게 도입하는 ‘학생성공버스’(통학버스)의 수소버스 도입을 지원할 예정이다. 당장 인천 내 교통 인프라 구축이 지연되는 대규모 개발지역을 중심으로 운영하는 권역별 학생통합순환버스가 수소버스로 도입될 전망이다.
올해만 27대가 시범운영된다. 인천시교육청은 수소버스 3대를 우선 투입 후 신규 수소버스 출고상황에 따라 점차적으로 사업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용 학교를 대상으로 환경교육 컨설팅 제공, 액화수소생산시설 견학 등 수소 관련 학습 및 현장견학 기회 등이 제공된다.
특히 이번 협약으로 수소버스의 안정적 운행을 위한 인프라 구축엔 더욱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인천시는 2024년까지 시내버스 등 누적 700대의 버스를 수소버스로 전환하고, 2030년에는 이를 2000여대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SK E&S도 인천시의 수소버스 보급 계획에 맞춰 올해 말부터 인천 액화수소플랜트에서 최대 연 3만톤 규모의 액화수소 생산해 수소버스의 연료로 공급하는 동시에 인천지역 충전 시설을 적기에 구축·운영하는 등 수소버스 전환을 위한 인프라 조성에 박차를 가한다는 구상이다.
환경부는 수소버스의 성능보증기간 확대 및 구매보조를 비롯해 수소충전소 확충 및 수소 통학버스 도입 등에 대한 정책적·재정적 지원을 맡았고 인천시는 통학버스를 수소버스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매 보조금 지원에 노력하고, 수소충전소 인프라 확대에 적극 협력할 방침이다.
이임철 SK E&S 부사장은 “통학버스의 수소 전환뿐 아니라 학생들에게 수소 관련 다양한 교육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데 의미가 있다”며 “회사는 이 같은 다양한 활동을 지속 진행하고, 경쟁력 있는 액화수소를 공급해 더 많은 수소버스 도입에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 SK E&S, 부산서 에너지 취약계층 지원사업 나서
- SK E&S, '수소모빌리티 선도도시 서울' 구축 지원
- SK E&S "환경부·현대차와 국내 기업 통근용 버스 수소차량 전환 앞당긴다"
- SK E&S, 미 플러그파워와 국내 수소산업 발전에 '1조원' 투자
- SK E&S, 인천지역 '수소버스 상용화' 지원… 정부·현대차 등과 협력
- 대한상의·IBK기업은행·동반성장연구소, 중소기업 근로자 복지 향상에 맞손
- 3억원 넘는 초고가차 국내 6300대… 누가 타나
- 소비자와 제조사의 엇갈린 자동차 '옵션구독' 해석
- SK E&S, 환경부와 국내 '수소 모빌리티' 활성화 방안 논의
- SK E&S·남부발전, 글로벌 '그린수소' 공동사업 협력 나선다
- SK E&S, 국내 기업 재생에너지 확대 지원군으로 나서
- SK E&S-플러그파워, 수자원공사와 국내 '청정수소' 산업 활성화 맞손
- SK E&S·천안시, 수소버스 도입·충전 인프라 개발 맞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