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SK E&S와 환경부가 올해 말 세계 최대 규모 액화수소플랜트 상업가동을 앞두고 액화수소 기반 수소 모빌리티 보급 확산을 위한 민관 협력 계획을 점검했다.
SK E&S는 2일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인천시에 위치한 인천 액화수소플랜트 건설 현장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이번 방문은 액화수소 사업을 추진 중인 SK E&S와 친환경차 보급 사업을 담당하는 환경부가 수소 모빌리티 생태계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이뤄졌다.
한 장관은 액화수소플랜트 및 충전소 구축 등 SK E&S의 액화수소 사업 계획과 진행 상황에 대한 설명을 듣고, 인천 액화수소플랜트 건설 현장을 둘러봤다. 또 추형욱 SK E&S 대표이사 사장과의 간담회에 참석해 ‘수소 모빌리티 생태계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협력 계획을 논의했다.
현재 SK E&S는 세계 최대 규모인 일 90톤, 연 3만톤의 액화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인천 액화수소플랜트를 건설 중이다. 해당 플랜트는 기체수소를 고순도로 정제한 뒤 영하 253도에서 냉각해 액체 형태로 만들어 공급하는 시설이다.
공정률은 약 99%로, 시운전 기간을 거쳐 올 4분기 중 상업운전이 시작된다. 인천 액화수소플랜트에서 생산한 액화수소는 액화수소충전소를 통해 수소 모빌리티용 연료로 공급되며, SK E&S는 이를 위해 액화수소 생산 개시 시점에 맞춰 전국 주요 지역에 액화수소충전소 구축을 추진 중이다.
액화수소는 기체수소 대비 부피가 800분의 1 수준으로 작아 대용량 운송이 가능하다. 특히 충전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도 있어 수소 모빌리티 보급 확대를 이끌 ‘게임체인저’로 불린다.
버스·트럭 등 수소 사용량이 많은 대형 상용차 연료로도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실제 미국·일본·유럽 등 해외와 달리 액화수소 불모지였던 국내에서 SK E&S의 대규모 액화수소 공급·유통이 본격화될 경우 수소 모빌리티 보급 확대도 탄력 받을 전망이다.
앞서 SK E&S와 환경부는 액화수소 생산부터 유통 기반 마련해 수소 모빌리티 보급 확산으로 이어질 수 있는 전체 밸류체인 구축에 유기적으로 협력해 왔다. 양 측은 올 5월 주요기업와 지차체, 운수사와 업무협약도 체결해 2026년까지 2000대 이상의 수소 통근버스 전환을 계획했다.
이 과정에서 SK E&S는 수소버스의 연료가 될 액화수소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맡는다. 환경부는 수소버스 전환과 충전소 구축을 위한 행정적·재정적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서 한 장관과 추 사장은 액화수소플랜트 및 충전소의 차질 없는 구축·운영이 중요하다는 데 뜻을 함께했고, 액화수소 기반 수소 모빌리티 확산으로 ‘체감 가능한 수소 시대’를 열어가기 위해 협력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추 사장은 “올해 말부터 액화수소의 생산·유통을 본격화해 수소 모빌리티 확산과 수소경제 조기 활성화를 위한 기반 마련에 앞장설 것”이라며 “민관이 힘을 합쳐 수소 모빌리티 생태계 확산을 통해 범국가적 과제인 탄소 감축에 기여하는 성공 사례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 기업은행, SK E&S와 신재생에너지 공동추진 업무 협약
- SK E&S, 정부·지자체와 협력… 인천 '수소 통학버스' 도입 지원
- SK E&S, 부산서 에너지 취약계층 지원사업 나서
- SK E&S, '수소모빌리티 선도도시 서울' 구축 지원
- SK E&S "환경부·현대차와 국내 기업 통근용 버스 수소차량 전환 앞당긴다"
- 물가상승률 최저라는데… 장바구니 물가는 '비상'
- SK E&S·남부발전, 글로벌 '그린수소' 공동사업 협력 나선다
- SK E&S, 국내 기업 재생에너지 확대 지원군으로 나서
- SK E&S-플러그파워, 수자원공사와 국내 '청정수소' 산업 활성화 맞손
- SK E&S·천안시, 수소버스 도입·충전 인프라 개발 맞손
- SK E&S, '수소 생태계' 강화… 소부장 강소기업들과 협력
- SK E&S·KD운송그룹·현대차, 친환경 수소버스 생태계 확산 동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