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우에 상추·시금치값 폭등
폭염·태풍 등 물가불안 변수
정부, 물가안정 대응책 분주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지표상 물가상승률이 2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으나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물가는 여전히 고공행진이다.
3일 통계청의 ‘2023년 7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2.3% 올랐다. 이는 2021년 6월(2.3%) 이후 가장 낮은 오름폭이다. 올 들어 3월까지 4∼5%대를 보였던 물가 상승률은 지난 6월 21개월 만에 2%대로 내려앉았다.
문제는 소비자들이 직접 체험하는 장바구니 물가가 아직 높다는 점이다.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크게 낮아진 것은 지난해 7월 물가 상승률이 6.3%로 정점을 찍은 데 따른 기저효과 영향이 컸기 때문이다.
실제 집중호우와 폭염 영향으로 지난달 상추와 시금치가 각각 83.3%, 66.9% 폭등하는 등 채소류 물가 오름세도 심상치 않다. 채소, 과일, 수산물 등 55개 품목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도 한 달 전보다 4.4% 뛰었다.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시민들이 체감하지 못하는 이유다. 여기에 이달에는 태풍과 폭염, 다음 달은 추석이 예정된 상황에서 국제 에너지 가격이 올라 물가 불확실성이 확대될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연말까지 물가 상승률이 3% 안팎에서 움직일 것으로 내다봤다.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지난 2일 진행된 ‘물가 상황 점검회의’에서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당초 예상대로 8월부터 다시 높아져 연말까지 3% 안팎에서 등락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에 정부는 먹거리 물가 안정을 위한 각종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김종구 농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은 “폭염 등 기상악화에 대응해 수급동향을 매일 점검하고 비축·계약재배, 수입 조치 등을 통해 공급을 확대하는 한편 소비자 부담 완화를 위한 할인 지원을 지속 추진하는 등 여름철 장바구니 물가 안정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 연일 한낮 '무더위'… 국내 전력수요 괜찮을까
- 이재용 삼성 회장, 완전체 로봇 '휴머노이드'에 꽂혔나… 본격개발 검토
- '좌충우돌' 테슬라, 자율주행 이어 핸들문제로 28만대 조사
- 한난, 카자흐스탄 에너지부와 난방분야 발전 MOU 체결
- 수자원공사, 수해복구 집중 지원… 피해 주민들 일상 회복에 적극 앞장
- SK E&S, 환경부와 국내 '수소 모빌리티' 활성화 방안 논의
- 한전, 도미니카공화국 배전변전소 건설사업권 수주 성공
- 바디프랜드, '썸머 보상대전' 특별 프로모션 개최
- 대한항공, 2분기 영업익 4680억원… 전년比 36%↓
- 수익성 악화에 신약개발은 지지부진… '적자수렁' 영진약품
- 아이스크림 물가 상승률 '10%'대 넘어섰다… 주요업체 가격 인상 영향
- 물가상승이 기회?… 식품기업, 원료값 '내리고'·영업익 '오르고'
- 식품업계, 3분기 역대급 실적에도 '전전긍긍'...정부 가격인하 압력 우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