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국빈방문 중 '투자신고식'서 대규모 합작투자 계획 발표
추형욱 SK E&S 대표 "한국, 수소산업 중심지 도약에 힘쓰겠다"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SK E&S가 미국의 대표 수소기업 플러그파워(Plug Power)와 공동으로 수소설비 생산기지 ‘기가팩토리(Giga-factory)’ 건설 등 국내 수소산업에 대한 대규모 합작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SK E&S는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미국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투자신고식’ 행사에서 플러그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합작투자 계획을 내놨다.
이에 회사와 플러그는 지난해 설립한 합작법인 ‘SK 플러그 하이버스’(SK Plug Hyverse)를 통해 총 1조원을 국내 수소산업에 투자할 예정이다.
합작법인 지분율에 따라 SK E&S가 5100억원, 플러그가 4900억원을 각각 부담하기로 했다. 정부의 적극적 육성 정책에 기반한 한국 수소시장의 잠재력과 SK E&S의 차별적 경쟁력이 양사 간 협업을 가능하게 했다는 평가다.
당시 행사에는 윤석열 대통령과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 기업 총수로 구성된 경제사절단, 플러그를 포함해 한국 투자를 결정한 6개 미국 기업 대표들이 참석했다.
이번 합작투자는 수소 분야에서 이뤄지는 한·미 기업 간 대표적 비즈니스 협력모델로 높은 의미를 갖는다.
실제 플러그가 보유한 수소분야 첨단 기술력과 SK E&S가 오랜 시간 축적해온 에너지 생산, 유통, 판매 역량이 더해져 글로벌 수소시장에서 우리나라가 차별적 경쟁력을 확보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SK E&S 측은 “국내 수소산업을 앞으로 새로운 수출산업으로 키우는 등 정부의 국정과제인 ‘수소산업 1등 국가’로의 도약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 투자금은 국내에 건설되는 ‘수소기술 연구개발(R&D)센터 및 기가팩토리’ 구축에 투입될 전망이다.
기가팩토리의 경우 차량용·발전용 수소연료전지와 수전해설비 등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수소 핵심설비 생산기지’ 역할을 맡는다. 회사는 이를 통해 2025년부터 순차적으로 제품 양산을 본격화해 국내 및 아시아시장에 공급할 계획이다.
특히 이 곳에서 생산되는 수소연료전지와 수전해설비에는 플러그의 핵심기술이 적용돼 수소 분야 첨단기술의 국산화도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등 국내 청정수소 생태계 확대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SK 플러그 하이버스는 이와 함께 국내 액화수소 충전소 구축, 운영 분야에도 투자하기로 했다. 전국 주요 지역에 액화수소 충전소를 구축하고 원활한 액화수소 공급과 인프라 조성을 통한 수소 모빌리티 확산을 위해서다.
당장 SK E&S는 올해 말부터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에서 액화수소 연 3만톤을 생산하고, 2026년부터는 보령 블루수소 생산기지에서 연 5만톤을 추가 공급하게 된다.
회사가 생산한 액화수소는 SK 플러그 하이버스가 구축·운영하는 액화수소 충전소를 통해 수소버스 등 다양한 수소 모빌리티의 연료로 공급될 전망이다.
조지 맥나미 플러그 이사회 의장은 “한국은 수소산업 선도 국가로, 수소를 국정과제로 육성 중인 한국 정부의 선구안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며 “SK 플러그 하이버스를 통해 가까운 미래 한국은 아시아 수소시장의 수출 허브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추형욱 SK E&S 대표이사 사장은 “플러그와의 공동 투자는 글로벌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보령 블루수소 생산기지 구축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국내 청정수소 생태계를 조기 조성해, 한국이 수소산업의 중심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