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이 현대차·기아의 중고차사업 진출로 시장의 불법적 관행들이 뿌리 뽑히길 기대하고 있다. 사진=서울와이어DB
소비자들이 현대차·기아의 중고차사업 진출로 시장의 불법적 관행들이 뿌리 뽑히길 기대하고 있다. 사진=서울와이어DB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지난해 현대차·기아는 인증중고차 시장에 진출하기로 발표하며 세간을 놀라게 했다. 다음 달 현대차·기아의 인증중고차 매매가 본격적으로 전개된다. 혼탁한 중고차시장에 정화의 바람이 불지 귀추가 주목된다.

7일 중고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기아의 인증중고차 판매를 위한 시설·주차장 공사가 마무리 단계에 있다.

소비자들은 환영하는 분위기다. 이들이 대기업의 인증중고차 사업에 기대하는 것은 중고차시장의 불법적 관행인 허위매물·미끼매물·사고이력 숨기기·강매위협 등의 근절이다.

소비자들의 중고차 업계에 대한 불신은 심각한 수준이다. 지난해 한국소비자원이 공개한 '중고차 시장 관련 인식 등의 설문조사'에서도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 중고차 시장의 문제점으로 '허위·미끼 매물'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는 소비자의 79.8%, 사업자의 98.1%의 응답률로 중고차 업계 스스로도 문제점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기아도 이 상황을 인지하고 있다. 지난해 중고차 사업 진출을 선언하며 “중고차 시장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 회복”을 서두에 놓았을 정도였다. 

현대차·기아는 기존 중고차 사업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판매량에 스스로 제한을 걸어놨다. 현대차는 내년 4월30일까지 중고차시장 점유율을 2.9%, 5월1일부터 2025년 4월30일까지 4.1%를 넘기지 않는다.

기아는 2024년 4월30일까지 2.1%, 2024년 5월1일부터 2025년 4월30일까지 2.9%로 제한된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와 기아가 기존 사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스스로 판매량 제한을 걸어둔 것을 보면 진정성이 느껴진다”며 “중고차에 대한 소비자 불신은 뿌리 깊지만 중소 중고차업체들도 대기업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소비자 불신 회복에 힘쓸 것”이라며 긍정적인 전망을 내비쳤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