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SK하이닉스·TSMC 등 미 핵심 수입국 규제해제
장비 반입 기한 따로 정하지 않아… 각 사 보폭 넓어질듯
중국 반도체 공장발 불확실성 일단락… 기술발전에 집중

삼성전자 DS부문 반도체 공장에서 직원이 장비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 DS부문 반도체 공장에서 직원이 장비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현지 공장에 미국산 반도체 장비 반입 규제를 사실상 해제했다. 이에 두 회사의 ‘중국발 리스크’는 일단 해소됐다.

특히 미 당국은 장비 반입 허용 기한을 별도로 정하지 않아서 국내 기업들은 장기적인 안목으로 경영 전략을 수립할 수 있게 됐다.

10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최상목 경제수석은 지난 9일 브리핑에서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에 대해 별도 허가 절차나 기한 없이 미국산 반도체 장비를 공급하겠다고 최종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미국이 지난해 10월부터 시작한 반도체 장비 수출 통제에서 유예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오는 11일 유예기간이 종료될 예정이었다. 미국 상무부는 두 회사를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목록에 등재하는 형식으로 유예 기간을 무기한으로 변경했다.

이에 중국발 불확실성이 풀리며 삼성전자·SK하이닉스의 중국 내 사업이 탄력을 받게 됐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각국 정부 간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중국 반도체 생산라인 운영에 대한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됐다”며 “앞으로 각국 정부와 긴밀히 협의해 글로벌 반도체 산업의 공급망 안정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SK하이닉스 관계자도 “미국 정부의 수출통제 유예 연장 결정은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안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고 환영하는 입장”이라며 “앞으로도 각국의 법규를 성실히 준수하며 글로벌 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