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기동대 포함 1260명 배치해
밀집도 높은 지역 질서 강력 통제
경찰복 코스프레 금물… 집중단속

이태원역 1번출구 추모공간을 찾은 시민들이 추모를 하고 있다.
이태원역 1번출구 추모공간을 찾은 시민들이 추모를 하고 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지난해 10월29일 발생한 이태원 참사의 재발을 막기 위해 전국 경찰 인력이 총 동원된다. 서울시·소방청도 합심해 안전 인력과 구급차량 등을 배치한다. 경찰복 코스프레도 엄격히 금지된다.

핼러윈데이(31일)를 앞둔 금요일과 주말인 27~29일 인파 밀집 지역에 경찰 통제가 이뤄질 예정이다. 고위험 지역을 사전에 지정하고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된 지역에 경찰 인력을 총 동원하는 등 긴장의 끈을 바짝 조인다.

경찰은 서울 이태원과 홍대 인근, 강남 지역 등 16곳에 일선 경찰서 인력과 경찰기동대 총 1260명을 배치하고 특정 골목에서 일방통행 및 양방향 통행을 강제로 유도하며 동선 관리에 집중한다. 중요 범죄·대테러 예방을 위해 경찰특공대도 투입한다.

서울 25개 자치구와 서울시는 각각 2341명과 84명을 주요 밀집 현장에 상주시킬 예정이다. 또 마포·용산·강남 등지의 ‘16개 고밀도 위험 골목길’을 따로 정해 도심지를 관리할 계획이다.

밀집도에 따라 안전 등급도 부여한다. ‘심각’ ‘경계’ ‘주의’ 등 3단계 등급으로 분류해 이태원 골목 전부(5곳)와 마포구 김억삼포장마차 골목의 경우 ㎡당 사람 수가 5명을 넘어 고밀집 위험 골목길 중에서도 밀집도가 높은 ‘심각’ 등급으로 분류했다.

안형준 서울시 재난안전예방과장은 “동선 안내뿐 아니라 상황실에서 폐쇄회로(CC)TV를 보고 통제 방송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소방청 역시 밀집지역에 상황관리관을 파견하고 이태원에는 구급차량 등 장비 11대와 73명의 구조사 등이 상주할 예정이다. 현장 혼란을 막기 위해 다음 달 5일까지 경찰복 코스튬 판매 착용도 집중 단속한다.

지난해 사고 당시 현장에 출동한 경찰을 향해 일부 시민이 핼러윈 복장을 한 참가자로 오인한 탓에 현장 수습에 어려움이 있었다는 판단에서다. 주요 포털 중고거래사이트에서의 제복 판매도 단속 중이다.

경찰 관계자는 “필요하다면 일방통행을 강제할 수 있고 방송조명차도 배치할 예정”이라며 “이태원보다 마포와 강남 쪽에 사람이 몰릴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