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LG화학이 차량 선루프용 투명도 조절 필름 시장 진출을 통해 전장 소재사업 확장을 본격화한다. LG화학은 전장용 접착제, 투명 안테나 필름 등 다양한 고부가 전장 소재사업을 지속 발굴해 나간다는 구상이다.
LG화학은 29일 자동차 선루프 시스템 분야 글로벌 리더 기업인 독일 베바스토(Webasto)와 SGF(Switchable Glazing Film) 수주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LG화학은 이번 계약을 바탕으로 앞으로 수년간 SGF를 베바스토에 공급할 예정이다.
SGF필름 거래 규모는 수천억원대에 달할 전망으로 세계 100대 전장 부품 회사인 베바스토는 이를 활용해 첨단 선루프 시스템을 만들고 유럽 완성차에 탑재할 계획이다.
SGF는 전기 신호를 통해 빛과 열의 투과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필름이다. 주로 선루프 등 자동차 유리에 쓰이며, 평상시에는 불투명하지만 전압이 가해지면 내부의 액정이 재배열되면서 투명하게 변하는 것이 특징이다.
차량에 SGF를 적용하면 차량 실내 디자인을 차별화할 수 있다. 운전자는 선루프 등 차량 유리를 구역별로 나눠 투명한 부분과 불투명한 부분으로 지정할 수 있다.
원하는 부분만 투명하게 만들어 음영이 생기는 곳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은 물론 사생활 보호도 가능하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SGF는 최근 프리미엄 차량과 전기차를 중심으로 채용이 늘어나는 추세로 수년 내 조 단위 규모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LG화학은 기존 디스플레이·반도체 등 전자 소재(Electronics Materials) 분야에서 축적한 액정, 점·접착제 재료 기술과 정밀 코팅, 패턴 형성 기술 노하우를 통해 이미 국내외 200개 이상의 SGF관련 특허를 보유 중이다.
SGF의 경우 타사 제품보다 빛의 간섭 현상이 적고 어느 방향에서 봐도 깨끗한 시야를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LG화학은 이와 관련 올해 양산성을 확보하고 내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판매를 시작한다는 목표다.
이미 연간 자동차 300만대에 적용 가능한 규모의 SGF 생산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향후에는 더 선명한 검은색(Clear Black)과 빠른 응답속도의 차세대 제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전면·측면 유리 등으로 SGF 적용을 확대할 방침이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전자 소재 분야 기술력을 기반으로 미래 성장영역인 모빌리티 소재사업을 육성하고 새로운 고객 가치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애물단지' 석유화학… LG화학·롯데케미칼, 통합운영 나설까
- "돈 되는 사업 찾자"... 석유화학업계, 체질개선 박차
- LG화학-안산시, '폐비닐 재활용' MOU 체결
- LG, '100조원' 투자 승부수… 구광모 "미래기회 선점 강화"
- [메타센서] LG화학, LG엔솔 지분 매각설 '솔솔'… 가능성은?
- LG화학, 불황 터널 2분기엔 벗어날까
- LG화학, 북미 NPE202 참가… 친환경 고부가제품 선봬
- LG화학·KCC, '친환경 페인트' 연구·개발 협력 MOU
- 신학철 LG화학 부회장, '하계 다보스포럼' 공동의장 선정
- LG화학, 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탈탄소 비전 등 주요전략 담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