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0명 자발적 참여… 상장폐지 재검토 요청

위믹스 투자자 협의체가 제출한 탄원서 일부. 사진=위홀더 카페
위믹스 투자자 협의체가 제출한 탄원서 일부. 사진=위홀더 카페

[서울와이어 서동민 기자] 위믹스 투자자들이 상장폐지 효력정지 가처분 심문 기일을 앞두고 탄원서를 제출했다.

위믹스 투자자 협의체는 20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상장폐지 철회와 제도 개선을 촉구하는 내용의 탄원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번 탄원서에는 총 3150명의 투자자가 자발적으로 참여했다.

협의체는 탄원서를 통해 상장폐지 결정 과정의 불투명성과 투자자 권리 보호 부재를 문제삼았다. 협의체는 "위믹스 상장폐지 결정이 거래소 간 소통과 조율이 부족한 상황에서 이뤄졌다"며 민간 협의체인 디지털자산거래소협의체(DAXA)가 실질적 폐지 권한을 행사하며 내린 일방적 조치라고 주장했다.

위믹스 재단은 해킹 사고 발생 직후 경찰 수사 의뢰와 KISA 인증 외부 보안업체를 통한 점검을 신속히 진행했으며 피해 규모를 크게 상회하는 3000만개 규모의 바이백까지 발표하며 피해 수습에 나섰다.

그러나 협의체는 국내 주요 거래소들이 대면 소명 기회조차 제공하지 않고 온라인 회의와 이메일을 통해 일방적으로 상장폐지 결정을 통보했다고 지적했다.

협의체는 특히 각 거래소가 동일한 날, 동일한 시각에 동일한 문장으로 상장폐지 공지를 발표한 점을 지적했다. 협의체는 "단순한 공지 시점의 일치를 넘어, 사실상 공동행위이자 사전 조율 정황"이라며 이 결정 구조가 투명성과 공정성을 심각하게 훼손했다고 강조했다.

위믹스 투자자 협의체는 탄원서를 통해 상장폐지 결정 과정 전반에 대한 투명한 공개를 요구했다. 또한 위믹스 거래 지원 종료 결정의 재검토를 요청하며 거래소 간 공지 시점 일치에 대한 공동행위 여부와 소통 구조를 명확히 검토해줄 것을 촉구했다.

협의체는 "위믹스 투자자들은 국내 거래소라는 막강한 권력을 가진 집단 앞에 아무런 보호도 받지 못한 채 일방적으로 버려졌다"며 "이번 탄원서 제출은 수많은 투자자들의 절박한 목소리를 전달하고, 더 나은 가상자산 시장의 방향성을 함께 고민해달라는 호소"라고 밝혔다.

한편 위믹스 상장폐지 효력정지 가처분 심문 기일은 오는 23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다. 법원은 이번 심문을 통해 상장폐지 결정의 절차적 정당성과 위믹스 측의 주장을 검토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