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박동인 기자] 금융당국이 보험사에 대한 건전성 규제 유예를 앞두고, 업계의 과도한 경쟁을 방지하기 위해 자산과 부채의 듀레이션(실질 만기) 관리를 강화하는 공동협약을 체결한다.
2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생명·손해보험협회 및 주요 보험사들과 함께 자산·부채 듀레이션 관리 강화를 위한 공동협약(MOU)를 이르면 이번 주 중 체결할 예정이다.
이번 조치는 내달 예정된 보험부채 할인율 조정안 확정에 앞서 과도기적 시장 혼란을 막기 위한 것이다.
금융당국은 최근 금리 하락세와 맞물려 보험사들의 건전성 지표가 빠르게 악화되고 있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 할인율 현실화 조치가 유예되면 보험사 입장에서는 일시적으로 재무 지표가 개선된 것처럼 보일 수 있어, 이를 기회 삼아 단기 실적을 끌어올리기 위한 경쟁이 다시 불붙을 가능성이 있다는 게 당국의 판단이다.
협약에는 보험사들이 무리한 장기보험 판매 확대를 자제하고, 자산과 부채 간 듀레이션 관리 체계를 자율적으로 점검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된다.
금감원은 월 단위로 각사의 듀레이션 현황과 변화 추이를 점검하며, 개선안이 확정되기 전까지 듀레이션 갭이 더 벌어지지 않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한편 금융당국은 이르면 8월 중 보험부채 할인율 현실화 속도를 늦추는 방안을 담은 개선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당국은 할인율의 최종 관찰 만기를 30년까지 확대하는 등 현실화 방향을 설정하고 오는 2027년까지 점진적으로 조정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으나, 시장 여건 변화를 반영해 시행 시기를 1~3년 연기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올해 1분기 보험사 지급여력(킥스·K-ICS) 비율은 197.9%로, 전 분기 대비 8.7%포인트 하락해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또한 당국은 보험사 자산·부채 듀레이션의 불균형을 구조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규제 도입도 검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듀레이션 갭 허용 한도를 감독규정에 명시하거나, 경영실태평가 항목에 자산·부채 관리 지표를 반영하는 방안 등이 논의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