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세종 국무회의 지역 균형발전 강조
"수도권 집중 한계… 세종 완성, 국가 과제"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42회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42회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정현호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세종시에 대통령 제2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16일 오전 취임 후 처음으로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세종 회의는 처음인데 빨리 대통령 제2집무실을 지어 세종으로 옮겨야 할 것 같다. 너무 여유 있고 좋다”며 “세종 집무실과 세종의사당 건립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세종시를 “지역균형발전의 상징 같은 곳”이라고 정의하면서 “허허벌판이던 세종이 오늘날의 모습으로 성장한 것은 모두 공직자들의 노고 덕분”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사회의 운명을 결정하는 건 여러 요소가 있지만, 권한을 위임받아 국가 중대사를 결정하는 공직자의 역할이 가장 크다”며 “공직자가 유능하고 바른 마음으로 일하면 전혀 다른 세상이 되지만, 반대로 몇몇 공직자에 의해 나라 운명이 바뀌기도 한다. 나라가 망할 수도 있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서울에서 근무하다 세종으로 내려와 자리 잡은 공직자들 덕분에 대한민국도 균형발전의 꿈을 현실로 조금씩 만들어가는 것”이라며 지방분권과 균형발전 성과를 짚었다. 

또 “대한민국의 지속 성장을 위해 국가균형발전은 선택이 아니라 운명”이라며 “수도권 집중은 이미 한계에 봉착했다. 지금 같은 방식으로 가면 수도권은 미어터지고 지방은 소멸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추진 중인 ‘5극 3특’ 전략을 소개하며, “수도권 1극 체제를 넘어 지방을 포함한 5개 발전 축과 강원·전북·제주의 3개 특별자치도를 키워야 한다”며 “균형발전은 대한민국의 지속성장을 위한 토대”라고 설명했다. 

그는 인공지능 기반의 지역 맞춤 전략과 균형성장 거점 구축을 병행하겠다고도 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행정수도 세종의 완성은 균형발전의 주춧돌을 놓는 일”이라며 제2집무실과 세종의사당 건립을 국가적 과제로 못박았다. 

이 같은 발언은 대선 당시 공약을 다시 확인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대선 공약집에 임기 내 세종에 대통령 제2집무실과 국회 의사당을 건립하겠다고 명시한 바 있다.

이 대통령은 지난 7월 대전 타운홀미팅에서도 “최대한 빨리 세종에 오겠다”며 “충청을 행정수도로 만들자는 오랜 의제를 지켜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내년도 예산안에는 제2집무실 240억원, 세종의사당 956억원 등 초기 예산이 반영됐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