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시중 통화량(M2)이 넉 달 연속 증가하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은 코스피 등 증시 상승세에 펀드 유입이 늘면서 수익증권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사진=연합뉴스 
7월 시중 통화량(M2)이 넉 달 연속 증가하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은 코스피 등 증시 상승세에 펀드 유입이 늘면서 수익증권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김민수 기자] 7월 시중 통화량(M2)이 넉 달 연속 증가하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증시 활황과 투자 대기성 자금 유입이 겹치며 수익증권을 중심으로 자금이 불어난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25년 7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7월 M2(광의통화·평잔)는 전월 대비 35조9000억원(0.8%) 늘어난 4344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동월 대비 증가율은 7.1%로, 7%대를 다시 회복했다.

M2는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등 협의통화(M1)에 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환매조건부채권(RP) 등을 포함한 지표다. 일반적으로 증가율이 7%를 넘으면 시중 유동성이 자산시장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큰 신호로 해석된다.

상품별로는 수익증권이 15조3000억원 늘며 증가세를 이끌었다.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과 요구불예금도 각각 7조1000억원, 6조9000억원 증가했다. 반면 예금취급기관의 자금조달 수요 둔화로 시장형상품은 감소세를 이어갔다.

경제주체별로는 기타금융기관이 수익증권·기타통화성상품을 중심으로 17조2000억원 늘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는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수익증권을 중심으로 14조5000억원 증가했고, 기타부문은 2조9000억원, 기업은 1조7000억원 확대됐다.

협의통화(M1) 평잔은 1292조9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1.2% 증가했다. 금융기관 유동성은 5902조9000억원(전월 대비 0.6%), 광의유동성은 7411조2000억원(0.8%) 늘었다.

김지은 한국은행 금융통계팀 차장은 “코스피 등 증시 상승세에 펀드 유입이 늘면서 수익증권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최남진 원광대 경제금융학과 교수는 “미국 금리 인하 기대 속 외국인 포트폴리오 자금이 유입됐지만, 대외 변수에 따라 추세 지속 여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