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희대 공세·내란 재판부 논란 직격탄
TK·PK·20대서 민심 이탈 가시화 분위기
사법부 흔들기 후폭풍, 민주당 지지율 동반 추락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도가 취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도가 취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정현호 기자]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도가 취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권이 조희대 대법원장을 겨냥한 사퇴 압박과 청문회 공세, 내란 전담 재판부 설치 법안 등 사법부 흔들기 논란에 몰리면서 민심의 균열이 드러났다는 해석이 나온다.

한국갤럽이 26일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 대통령의 직무 긍정 평가는 55%로 불과 일주일 전보다 5%포인트 하락했다. 

부정 평가는 34%로 3%포인트 상승했다. 8월 셋째 주 56%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50%대 중반까지 내려앉았던 지지율은 이번 조사에서 그보다 더 낮아졌다.

긍정 평가는 민주당 지지층(91%)과 진보 성향(82%), 40·50대(70% 안팎)에서 두드러졌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77%)과 보수층(63%)에서는 부정 평가가 압도적이었다. 중도층은 긍정 60%로 여전히 대통령을 지지하는 비율이 높았지만, 무당층은 긍정과 부정(40%·38%)이 팽팽히 갈렸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과 부산·울산·경남에서 부정 평가가 긍정을 앞서며, 여론 이탈 조짐이 나타났다. 연령별로도 20대와 70대 이상에서 부정 여론이 긍정을 웃돌았다. 20대의 긍정 평가는 37%에 그쳤다.

긍정 평가자들은 외교(20%), 경제·민생(15%), 소통(9%), 전반적으로 잘한다(8%) 등을 이유로 꼽았다. 부정 평가자들은 외교(14%), 독단·독재(11%), 과도한 민생 지원금(9%), 경제·민생(7%)을 문제 삼았다. 

여기에 대법원장 사퇴 압박과 내란 재판부 설치 논란(5%)도 부정 여론에 직접 반영됐다. 한국갤럽은 “최근 부정 평가 사유를 보면 조희대 대법원장 관련 공세와 내란 재판부 논란이 대통령 국정 평가에도 영향을 준 듯하다”고 해석했다.

정당 지지율 역시 하락세를 보였다. 민주당은 38%로 일주일 전보다 3%포인트 떨어지며, 출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국민의힘은 24%, 조국혁신당과 개혁신당이 각각 3%, 진보당 1%였다. 지지 정당이 없다는 무당층은 30%로 집계됐다.  

정당 대표 평가에서도 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긍정 43%, 부정 44%로 팽팽히 맞섰다. 반면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긍정 30%, 부정 51%로 부정 평가가 크게 앞섰다.

내란 전담 재판부 설치 여부를 두고는 여론이 양분됐다. 현 재판부 유지를 지지한 응답자는 41%, 전담 재판부 설치 필요성을 지지한 응답자는 38%를 기록했고 보수층은 현 재판부 유지(60%), 진보층은 전담 재판부 설치(61%)로 갈라졌다. 중도층은 찬반이 팽팽히 맞섰다.

한편 이번 조사는 지난 23일부터 25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2명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