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이달 현지 당국 승인 및 상장 절차 완료
LG전자, 실적 침체 분위기… 인도 영향력 강화

[서울와이어=천성윤 기자] LG전자가 이사회를 열고 인도법인의 현지 증시에 상장을 최종 의결하며 이르면 이달 상장 절차를 완료할 예정이다. LG전자 인도법인은 상장을 통해 총 1조8000억원에 달하는 자금을 수혈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현지 영향력 강화에 투입될 전망이다.
1일 전자 업계에 따르면 LG전자 지난달 30일 이사회를 열고 인도법인 지분 15%(1억181만5859주) 구주 매각을 의결했다. LG전자 인도법인 상장은 신주발행 없이 지분 15%를 매각하는 구주매출이며 조달 금액이 100% 본사로 유입되는 방식이다. 처분일과 금액은 정해지지 않았다.
이번 이사회 결의에 따라 LG전자는 인도증권거래위원회(SEBI)에 최종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게 되며, 빠르면 이번달 내 기업공개(IPO) 절차가 마무리된다. LG전자는 SEBI가 최종 승인을 진행하면 공모가 밴드와 처분예정일자를 다시 공시할 예정이다.
LG전자가 IPO를 통해 기대하는 조달 금액은 1150억루피(약 1조8000억원)다. 이는 2분기말 별도기준 회사가 갖고 있는 1조1000억원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을 넘어서는 규모다. 특히 이자 비용 등 금융 리스크 없이 대규모 현금 조달이 가능해 재무건전성 개선도 예상된다.
LG전자의 인도 상장은 지난해 12월부터 진행됐다. 당시 SEBI에 상장예비심사서류를 제출하며 상장을 본격화했고 올해 3월 예비승인을 받았다.
하지만 4월 갑작스레 인도 증시가 요동치며 기관투자자 등의 투자심리가 위축되는 바람에 LG전자는 상장 절차를 일시 중단했다. 시장 상황이 좋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하게 IPO를 추진하면 적절한 기업가치를 평가받지 못할 수 있다고 봤기 때문이다.
현재 인도시장에서 LG전자의 기업가치는 90억달러(약 12조7000억원)로 평가된다. 지난해 상장을 준비했을 때는 130억달러(약 18조원)까지 몸값이 치솟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었으나, 지금 시점에서 그정도 평가를 받기는 힘들 것으로 업계는 예상한다.
LG전자는 인도 가전 점유율 1위를 달릴 정도로 현지의 신뢰가 두텁다. 올해 상반기 인도법인 매출은 2조2729억원으로 집계되며 1·2분기 연속 1조원 매출을 넘었다. 이대로라면 지난해 기록한 매출 3조7910억원도 넘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황지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IPO로 유입된 현금은 신사업 육성과 주주 환원 정책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10월 중순 상장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LG전자는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동기 대비 47% 급금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어 신성장 동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특히 주력 사업인 TV가 크게 부진하며 이를 담당하는 MS사업본부는 만 50세 이상 또는 저성과자 대상 희망퇴직을 시작한 데 이어 최근 전체 사업부로 확대했다.
회사는 이번 인도 상장을 기점으로 전사적 분위기 전환을 목표로 한다. 냉난방공조(HVAC), 인공지능(AI) 등 신사업 체질 개선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14억명 인구의 인도를 중심으로 주변 국가로 신시장을 개척해 유의미한 동력을 확보한다는 것이다.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 사장은 “글로벌 사우스 중 인도는 특히 경제 안정성과 성장성 관점에서 독보적이라 생각한다”며 “현재 가전 보급률이 아주 낮은 상황이지만 내년부터 인당 국내총생산(GDP)이 3000달러대에 진입하는 등 구매력이 있는 중산층이 크게 늘 것”이라고 강조했다.
- LG CNS, 'AX 페어 2025' 개최…에이전틱 AI·피지컬 AI 혁신 사례 공개
- 전자업계 AI 냉난방공조 열풍… 삼성·LG 신사업 '낙점'
- LG전자, 사우디 네옴시티 냉각솔루션 협력 논의
- 중국 BOE, 연 보조금만 8천억… K-디스플레이 '위태'
- LG, 사장단 회의 개최… AI·R&D 전략 논의
- LS일렉트릭-한전-LG전자, 직류 기반 스마트팩토리 사업 협력
- 윈도우10, 9년 만에 퇴장…남은 선택은 '업그레이드' 혹은 '유료 보안'
- LG전자 인도법인 현지 상장… 세계 1위 인구대국 공략
- LG전자, ‘능동형 마이크로 LED’ 신제품 선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