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D 시장 중국에 완전히 내주고
OLED도 2~5년내 추월당할 가능성
정밀 ·파격적인 정부지원책 필요

[서울와이어=천성윤 기자] 한국 디스플레이가 중국에 액정디스플레이(LCD)에 이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도 곧 추월당할 위기에 빠졌다. 중국 디스플레이 업계는 정부 차원의 거대한 지원을 등에 업고 글로벌 경쟁력을 높여가고 있지만, 한국 정부는 지원에 인색하거나 정책 설계에 정밀함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26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최근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와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는 국회에서 ‘디스플레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회 포럼’을 열고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 현황을 공유하고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가장 부각 된 의제는 중국의 ‘디스플레이 굴기’였다. 포럼에 참석한 국내 디스플레이 인사들은 일제히 중국의 견제에 우려를 제기했는데, 특히 한국이 세계 시장에서 우위를 보이고 있는 OLED조차 빠르면 2028년 중국에 추월당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포럼에 참석한 이재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한국이 느긋한 태도를 취하는 사이 중국이 이미 우리를 추월하는 산업 영역이 발생하고 있고, 정부의 역할과 기업체와의 연계, 협력 방식이 지적을 받고 있다”며 “디스플레이도 우리가 앞서고 있다고 하지만 지금 추세로 보면 결코 안주할 수 없는 위기 국면에 진입했다”고 말했다.
현재 중국은 LCD 분야에서 한국을 완전히 누르고 시장을 점령했다. 중국은 LCD 자체 기술력을 개발하고 풍부한 자원과 인력을 바탕으로 저가 공세로 밀고 들어와 시장 점유율을 급속도로 높였다.
결국 가격 경쟁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삼성디스플레이는 2022년 LCD 사업을 30여 년 만에 접고 철수했고, 같은 해 LG디스플레이도 광저우 LCD 공장을 중국 CSOT로 넘기며 한국 LCD 역사는 막을 내렸다. 현재는 삼성전자와 LG전자도 TV용 LCD 패널을 중국에서 조달할 만큼 중국이 독점한 상태다.
한국 디스플레이 업계는 LCD를 포기한 대신 OLED 체제로 전환해 투자를 늘려왔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KDIA)와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해 매출 기준 OLED 시장 점유율에서 한국은 67.2%로 1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33.3%를 기록해 아직 격차는 30%포인트 이상 나는 것으로 파악됐다.
주목할 지점은 이 점유율 지표 내용이 좋지 않았다는 것이다. 한국 OLED는 전년(2022년)대비 6.4%포인트 감소했고, 중국은 7.6%포인트 상승했다. 스마트폰·차량용 소형 OLED 점유율이 크게 줄어든 것이 원인이었다.
이러한 추세가 이어지면 2028~2030년에는 중국이 OLED 점유율도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경기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첨단산업의 한·중 경쟁력 비교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BOE와 한국 OLED 기술 격차가 1년 미만일 것으로 추정했다.

중국 디스플레이의 발전 속도가 빠른 것은 정부의 압도적인 지원책 덕분이다. 지난해 중국 최대 디스플레이 제조사인 BOE가 받은 보조금만 약 7800억원으로 알려졌으며, 패널 원가의 40% 이상을 정부가 지원해 주는 것으로 분석된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집권 이후 ‘중국제조 2025’라는 계획을 내세우며 산업계에 자국 디스플레이를 소비할 것을 주문하고 각종 혜택과 투자책으로 산업 발전을 촉진했다. 업계에서는 우리 정부도 적극적 대응책을 마련해 국가전략산업인 디스플레이 경쟁력 유지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는 다른 산업과의 형평성을 고려해 ‘특별대우’로 보일 수 있는 지원은 최대한 꺼리는 분위기”라며 “경쟁력이 추월당할 위기에 있는 긴급한 분야에는 세제 혜택, 보조금, 인프라 지원 등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현행 지원 정책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니지만 보다 정밀한 법 설계를 통해 실질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주문도 있다.
이한구 LG디스플레이 상무는 “현재 제도는 내야 할 법인세를 깎아주는 식으로 설계돼 정작 대규모 투자 집행으로 적자가 났을 때는 법인세 납부가 없어 가장 필요한 시기에 지원받지 못하는 딜레마가 있다”며 “직접 환급해주고 제3자 양도를 통한 현금화 제도가 도입되면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준영 삼성디스플레이 부사장도 “지속적 투자를 위해서는 세액공제 이월기간을 현행 10년에서 20년 이상으로 연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LG CNS, 수학적 최적화 경연대회 마무리…산업·학계 343팀 참여
- '역대 최대' 도쿄게임쇼 개막…K-게임, 日 시장 정조준
- LG, 사장단 회의 개최… AI·R&D 전략 논의
- [특징주] 엑사이엔씨, 삼성물산과 631억 규모 수장공사 계약 체결에 강세
- 바디프랜드, 듀얼 콤팩트 헬스케어로봇 '팔콘N' 출시
- [특징주] 한라캐스트, 글로벌 AI·로봇 수주 기대에 급등
- 한독, 추석 맞이 의료기기 바로잰 기획전 실시
- LG전자, 사우디 네옴시티 냉각솔루션 협력 논의
- 전자업계 AI 냉난방공조 열풍… 삼성·LG 신사업 '낙점'
- LG전자 인도법인 상장 마무리… 2조 실탄 확보 나선다
- LG전자 인도법인 현지 상장… 세계 1위 인구대국 공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