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서울 과열… 성남·과천·광명 집값 상승률 강남 3구 상회
외곽 미분양 누적… 평택·이천·양주 3곳이 전체 62% 차지
정부 대책은 지방 중심… 수도권 외곽 정책 사각지대 우려
서울 접근성 기준 집값 양극화 심화… 외곽 회복 지연 전망
![아파트 [서울와이어 DB]](https://cdn.seoulwire.com/news/photo/202510/674392_878156_3441.jpg)
[서울와이어=안채영 기자] 서울 생활권이 경기로 확장되면서 강남권과 맞닿은 ‘준서울’ 지역은 서울보다 높은 집값 상승세를 보이는 반면, 수도권 외곽은 미분양 적체가 이어지고 있다. 정부 대책은 지방에만 치중돼 외곽 지역은 지원 사각지대에 놓였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경기 지역 미분양 주택은 1만1857가구로 전국 최다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평택이 4197가구, 이천 1667가구, 양주 1499가구로 외곽 3개 지역의 미분양 비중이 전체의 62%를 넘었다.
반면 서울과 가까운 준서울 지역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가격 조사에 따르면 9월 다섯째 주 성남 분당은 전주 대비 0.97%, 과천은 0.54%, 광명은 0.30% 오르며 강남 3구를 웃도는 상승률을 기록했다. 과천시 원문동 ‘래미안슈르‘ 전용 84㎡는 지난 3월 18억5000만원에 거래돼 2021년 전고가를 경신했다.
가격 대비 거래량에서도 양극화가 확인된다. 경기도 전체 지난 8월 아파트 매매거래 건수는 8667건으로 전월 대비 0.2% 증가했지만, 과천의 거래량은 7월 11건에서 8월 24건으로 118.2% 증가했고, 성남은 392건에서 539건으로 37.5% 늘었다. 반면 평택과 이천은 고가 거래가 거의 없고 청약도 실종된 수준이다.
외곽 미분양의 원인으로는 대규모 택지개발과 수요 대비 공급 과잉이 꼽힌다. 평택은 삼성전자 반도체 평택 캠퍼스 인근에 대규모 입주가 예정됐고, 이천도 SK하이닉스 주변 공급이 과다하다. 연간 적정 수요 대비 3~5배에 달하는 입주 물량이 예정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실제로 평택 브레인시티 모아엘가는 1200가구 공급에 단 38개 통장이 접수되며 청약 부진을 기록했다.
업계 안팎에서는 정부 정책이 지방 중심으로 설계돼 수도권 외곽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였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준공 후 미분양 매입,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미분양안심환매사업, 기업구조조정(CR) 리츠 등 정부 지원책은 지방에 집중된 반면, 대출 규제와 DSR 강화 등 금융 규제는 수도권에 일괄 적용돼서다. 이로 인해 외곽 지역의 공급 부담은 커지는 한편 준서울 지역은 수요가 더 달아오르는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서울 생활권이 경기로 확장되면서 ‘준서울’ 과열이 이어지는 가운데, 외곽지역은 투자·거주 수요가 부족해 미분양이 누적되고 있다”며 “정부 지원에서 제외된 상태로 장기간 방치될 경우 경기 내 양극화가 심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수도권 외곽까지 아우르는 맞춤형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