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로스앤젤레스항의 화물선. 사진=연합뉴스
미국 로스앤젤레스항의 화물선.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안채영 기자] 미국과 중국이 상대국 선박을 상대로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며 해운·조선 분야로 무역 갈등이 확산되고 있다.

14일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무역대표부(USTR)는 이날(현지시간)부터 중국 기업이 소유하거나 운영하는 선박에 순톤(Net ton)당 50달러의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는 정책을 발효했다. 해당 요율은 2028년까지 단계적으로 톤당 140달러로 인상된다.

또한 중국이 아닌 외국 기업이 운영하더라도 중국에서 건조된 선박은 톤당 18달러(2025년 기준) 또는 컨테이너당 120달러 중 높은 금액을 납부해야 한다. 각각 2028년에는 톤당 33달러, 컨테이너당 250달러까지 인상될 예정이다.

이번 조치는 중국의 해운·조선 보조금 정책에 대응하고 미국 내 선박 건조를 장려하기 위한 ‘무역법 301조(Section 301)’에 따른 조치다.

이에 맞서 중국도 같은 날부터 미국 선박에 대한 입항 수수료 부과에 나섰다. 중국 교통운수부는 “미국의 일방적 제재가 국제무역 질서를 훼손했다”며 대응 차원에서 미국 관련 선박에 순톤당 400위안(약 8만원)을 부과하기 시작했다.

대상은 미국 기업·단체·개인이 소유하거나 운영하는 선박, 미국 자본이 25% 이상 들어간 기업의 선박, 미국 국적 또는 미국 건조 선박까지 포함된다. 중국은 이 요율을 2028년까지 순톤당 1120위안(약 22만원)으로 단계 인상할 계획이다. 다만 중국에서 건조된 선박이나 수리를 위한 공선은 면제된다.

양국의 이번 조치는 최근 고조되는 미중 무역 긴장과 무관하지 않다. 중국이 지난 9일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를 발표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10일 중국산 제품에 100% 추가 관세를 예고하고 핵심 소프트웨어 수출을 제한하겠다고 밝혔다.

오는 31일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미중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어 양국이 ‘관세 전쟁’의 휴전을 모색할지 국제사회의 관심이 쏠린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