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서동민 기자] 카카오모빌리티는 자회사 케이엠파크, HL로보틱스와 함께 충북 청주시 충북콘텐츠기업지원센터 지하 주차장에서 일반 이용객이 직접 사용할 수 있는 로봇발레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충북도청과 충북과학기술혁신원의 지원을 받아 추진됐다. 두 기관은 신기술 상용화와 미래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역 협력의 모범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이용 방법은 간단하다. 차량 번호판을 인식시킨 뒤 노란 표시선 안에 차를 세우고 시동을 끄면, HL로보틱스의 주차로봇 ‘파키(Parkie)’가 차량 아래로 들어가 차를 들어올려 주차 공간으로 옮긴다. 출차할 때는 카카오톡 알림으로 받은 링크를 눌러 요청하면 로봇이 다시 차량을 지정 구역으로 가져다주며, 방향도 자동으로 맞춰준다.
현재는 입주 기관 직원 등 사전 신청자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추후 일반 이용자에게로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플랫폼 기술력을 통해 기존의 ‘기계식 주차장’ 개념을 넘어, 이용자 스마트폰으로도 제어 가능한 서비스 환경을 구현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주차로봇을 실생활 서비스로 구현하는 과정에서 통합교통(MaaS) 플랫폼으로서의 역량이 활용됐다”며 “모빌리티 기술이 실제 사용자에게 편리함으로 전달되도록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주차로봇 ‘파키’는 차량을 정확히 들어올려 지정 구역에 오차 없이 배치하는 기술로 CES 2024와 FIX 2025에서 최고 혁신상을 받았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 기술을 기반으로 사우디아라비아 ‘디리야 프로젝트’에도 주차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